혈기도 행공하는 현웅 스님
|
몸 수행에도 통달한 현웅 스님
청산거사 만나 국선도 20년
2년전부터는 혈기도 수련
“몸에는 보이지 않는 마음 있어
정신 없는 몸은 송장일 뿐”
* 이길우의 기찬몸 바로가기
결가부좌는 일반인들은 따라하기 힘든 자세다. 부처가 깨달음을 얻을 때 앉았던 자세라 하며 불가에서는 여래좌로 불리는 이 자세는 두 다리를 구부려 반대쪽 허벅지에 올려놓고 척추와 목을 곧게 편 상태에서 혀끝을 말아 입천장에 살며시 댄다. 두 손은 무릎 위에 자연스럽게 올려놓고 복식호흡을 한다. 기억력과 집중력이 향상된다고 하지만 일반인들은 단 5분도 이 자세를 유지하기 어렵다. 스님들은 이 자세에 익숙하다. 오랜 시간 수행한 결과다. 동안거와 하안거는 정신과 육체의 호된 수행이다. 일 년에 두 번, 화두를 잡고 좁은 공간에서 90일 동안 결가부좌 자세로 좌선을 하는 간화선을 주된 수행 방법으로 삼는 한국 불교계에서는 몸 수행 방법이 따로 없다. 요가를 하든가, 나름대로 익힌 몸 수련 방법으로 몸이 굳어지는 것을 막는다.
하지만 육체적인 운동보다 정신적인 수행에 방점이 놓이다 보니 수행 생활을 오래 한 고승들은 대부분 육체적으로는 한두 가지 병을 피하기 어렵다. 특히 무릎 관절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많다.
서울 육조사의 현웅(71) 스님은 젊은 시절부터 각종 무술과 도인양생술에 관심이 많았다. 일흔이 넘었는데도 몸이 놀라울 정도로 유연하다. 두 다리를 양쪽으로 180도 벌린 채 상체를 바닥에 붙인다. 기운차게 발차기를 하고, 깃털처럼 가벼운 발걸음을 한다. 특히 몸을 360도 회전하는 발차기는 비단처럼 부드럽다. 현웅 스님은 국선도를 세상에 알린 청산 거사를 1976년 서른살 때 만나 직접 배운 국선도를 20년 동안 수행했다. 또 신선건강술로 알려진 혈기도를 2년 전부터 날마다 자신의 선원에서 수행하고 있다.
현웅 스님을 육조사에서 만나 정신과 몸의 관계를 물었다. 오랫동안 불교 수행을 하면서도 몸 수행을 함께 해온 스님에게서 남다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것 같았다. 스님은 몸과 정신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수행을 강조했다. “몸에는 보이지 않는 마음이 있어요. 도(마음·정신)가 없는 몸은 송장이지요. 참선은 몸도 아니고 마음도 아니라는 화두를 들고 깨쳐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중도에 이르는 길입니다.” 스님은 덧붙였다. “나무에 달린 푸른 잎과 가지를 보았다면 땅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을 모를 수 없어요. 땅속엔 보이지 않지만 나무를 길러주는 무엇이 있어요. 보이지는 않지만 존재하고 있으면서 모든 것을 하게 하는 성질을 중도 또는 깨달음이라고 하죠.”
출가 전 태권도 등 종합무술 배우고출가 뒤 쿵후 검술 단전호흡 익혀
토굴 생식수행 등 선방생활도 오래 스위스 캐나다 미국 등에서
외국인에게 20년 가까이 선 가르쳐 다시 한국에 돌아와서 사찰 차려
불공 없이 공부·수행 공간으로
불교 좌선 수행에 도움이 된다는 혈기도 행공을 하는 현웅 스님
|
미국에서 불교 포교할때 현지 명상전문잡지의 표지모델이 됐던 현웅 스님
|
육조사 법당의 현웅 스님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