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9.18 00:10
수정 : 2019.09.18 17:04
|
사진가 정범태 선생이 지난 2007년 <한겨레>와 인터뷰 때 카메라를 든 채 웃고 있다. 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
지난 15일 별세 뒤늦게 알려…향년 92
고인 유언 따라 빈소 없이 주검도 기증
|
사진가 정범태 선생이 지난 2007년 <한겨레>와 인터뷰 때 카메라를 든 채 웃고 있다. 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
한국 리얼리즘 사진의 대가로 꼽히는 정범태 선생이 지난 15일 새벽 5시50분께 별세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향년 92.
1970년대 <한국일보> 재직 시절부터 가까이 지내온 후배 사진가 전민조씨는 17일 소셜미디어를 통해 “고인의 뜻에 따라 주검은 가톨릭성모병원에 기증했으며, ‘외부에 알리지 말고, 빈소도 만들지 말라’는 유지를 받들어 모든 장례 절차가 끝난 뒤 지인들에게 알려 드린다”는 가족들의 부음을 공개했다.
1928년 평안북도 선천에서 태어난 고인은 1956년부터 1997년까지 40여년간 <조선일보>, <한국일보>, <세계일보> 등 신문 사진기자로 활동하면서 한국 근현대사의 다양한 현장을 기록했다. 그는 평소 두 대의 카메라를 들고 다니며 신문 보도용과 개인용 사진을 특종 사진 여럿 장면을 역사에 남겼다.
|
1960년 4월18일 고려대생 피습 현장. 사진 정범태 기자.
|
특히 그가 1960년 4월18일 서울 천일백화점 앞 고려대생 피습 장면을 찍은 사진은 ‘4·19 혁명’의 도화선에 불을 댕기는 계기가 됐다. 이승만 하야 직전 계엄령이 내려진 시내 거리에서 경찰의 총탄세례를 받아 동행한 운전기사가 숨졌으나 <에이피>(AP) 통신에서 사진기자가 사망했다고 타전하는 바람에 오보의 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앞서 그해 구정 때는 한국철도사상 최악의 사건으로 꼽히는 ‘서울역 귀성객 압사 사건’도 특종이었다.
|
1961년 경기고등군법재판소 ‘결정적 순간’. 정범태 사진.
|
1961년 5·16쿠데타 직후 마약사범으로 군사법정에 서 있는 여인과 그의 어린 아들을 포착한 ‘결정적 순간’은 그의 이름을 세계에 알린 ‘리얼리즘 사진의 백미’로 꼽힌다. 이 사진은 61년 10월 일본 <아사히신문> 주최 국제사진전에서 10대 걸작으로 뽑히고, 62년 일본에서 발행된 <세계사진연감>에도 수록됐다.
|
2006년 펴낸 정범태 사진집 ‘한국춤 백년 1’의 표지.
|
고인은 1946년 국극사 창극명창 장영찬씨와 인연을 계기로 말년까지 60년 넘게 명인·명창을 기록해 ‘다큐멘터리 예술 전문 사진가’로도 영역을 개척했다. 사진집 <한국의 명무>(名舞) 시리즈(한국일보사), <한영숙-살풀이>(열화당), <춤과 그 사람>(전10권, 열화당), <한국춤 백년 1-2>(눈빛출판사) 등 역작을 남겼다.
그는 한국민족사진가협회 이사, 한국창작사진가회 회장, 대한언론인회 이사 등을 지냈다. 2011년 제비꽃 문화인 특별사진가상, 제25회 한국기자상을 수상했다. 김경애 기자
ccandori@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