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8.01 12:04
수정 : 2019.08.01 20:05
환경부, 2021~2030년 위험도 평가
전국 229곳 지방정부 중 63% 높음
‘매우높음’ 지역은 19곳→72곳으로
지금처럼 온실가스를 배출할 경우 2021년 이후 전국 시·군 63%가 높은 수준의 폭염 위험에 노출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일 환경부가 기상청 기후전망 시나리오를 활용해 전국 기초지방정부 229곳의 ‘폭염 위험도’를 평가해 내놓은 자료를 보면, 2001~2010년 30%였던 폭염 위험지역은 2021~2030년엔 63%까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부는 폭염 위험도를 매우 높음, 높음, 보통, 낮음, 매우 낮음 등 5단계로 나눠 평가했는데, 폭염 위험지역은 ‘높음’과 ‘매우 높음’을 보인 곳이다. 위험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온열 질환 등에 따른 인명 피해 위험도 커진다. 환경부는 일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과 최고기온을 비롯해 65살 이상 및 5살 미만 인구비율, 도시화 면적 비율, 인구당 응급의료 기관 수 등을 따져 위험도를 분석했다.
폭염 위험도가 ‘매우 높음’으로 평가된 지역은 2001~2010년과 2021~2030년 각각 19곳에서 72곳, ‘높음’으로 평가된 지역은 같은 기간 50곳에서 73곳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 기간 동안 위험도가 ‘보통’인 지역은 80곳에서 64곳으로, ‘낮음’ 지역은 64곳에서 19곳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2021~2030년에 폭염 위험도가 ‘매우 낮음’으로 예측되는 지역은 강원 태백 1곳에 불과했다. 2001~2010년 기준 이 지역은 경기 용인, 경북 울릉, 강원 14개 시·군 등 16곳이었다.
이런 분석은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제대로 실현되지 못해 2100년까지 추가로 지구에 흡수되는 태양 에너지양이 8.5W/㎡일 경우의 기상청 기후전망 시나리오(RCP 8.5)에 따른 결과다.
저감 정책 효과로 온실가스가 상당히 줄어들더라도 희망적이지 않다. 환경부는 2100년까지 지구로 흡수된 태양 에너지양이 4.5W/㎡일 때 기후전망 시나리오(RCP 4.5)를 적용해도 폭염 위험도 ‘매우 높음’ 지역은 48곳, ‘높음’ 지역은 78곳으로 늘어나 전체의 48%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런 결과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에 따라 일 최고기온 등 위해성이 높아지고, 고령화에 따른 65세 인구와 홀몸노인 비율 등 노출성, 도시화 면적 비율과 같은 취약성이 함께 증가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
기상청 제공
|
일반적으로 폭염은 일 최고기온이 33℃ 이상일 때를 말한다. 폭염이 이틀 이상 지속할 것으로 예상할 때 폭염주의보가 내려진다. 우리나라 평균 폭염일수는 1980∼2000년대는 8∼11일을 유지하다가 지난해 31.5일로 껑충 뛰었다. 온열질환자 역시 2011∼2017년 연평균 1132명(사망 11명)이었으나, 지난해 4526명(사망 48명)으로 급증했다.
이런 현상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지난해 10월 인천 송도에서 열린 총회에서 ‘1.5도 특별보고서’를 채택해 “이대로 지구 온도가 계속 상승한다면 약 4억2000만명이 극한 폭염에 노출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스트레일리아 국립기후복원센터는 지난 5월 발표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2050년에는 지구 육지의 35%, 지구 인구의 55%가 생존하기 어려운 치명적인 폭염에 1년 중 20일 이상 노출되고, 인위적으로 시원한 환경을 만들 수 없는 가난한 나라와 지역은 독자 생존이 불가능해진다”고 경고했다.
한편 기상청은 2일 낮 최고기온이 30∼36℃에 이르고, 남부 내륙 지역의 경우 오후에 소나기가 내리는 곳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당분간 남부 내륙과 일부 충청 내륙, 동해안은 한낮 기온이 35℃ 이상 오르고 다른 지역도 일 최고기온이 33℃를 웃돌아 매우 더울 것이라고 기상청은 내다봤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