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4.24 18:13
수정 : 2019.04.24 19:00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4일 오후 블라디보스토크 역에 도착해 군악대의 국가연주 등 환영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블라디보스토크/로이터 연합뉴스
|
러시아, 회담 앞서 “공동성명 없다” 밝혀
미국과 갈등 피하려는 조처 가능성
연말까지 대화 문 연 북 요청일 수도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4일 오후 블라디보스토크 역에 도착해 군악대의 국가연주 등 환영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블라디보스토크/로이터 연합뉴스
|
러시아 크렘린궁이 23일(현지시각)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을 공식 발표하면서 ‘공동성명은 없다’고 밝혔다. 정상회담에서 공동성명을 채택하지 않는 경우는 드물지 않지만, 양국이 8년 만에 하는 정상회담인데다 북핵과 제재 등 주요 사안들이 있는데도 러시아 쪽이 회담에 앞서 공동성명에 대한 기대를 차단한 점은 눈여겨볼 만하다.
<리아 노보스티> 통신은 유리 우샤코프 대통령 외교담당 보좌관이 이날 기자들에게 “공동성명은 검토되거나 계획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우샤코프 보좌관이 밝힌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정치·외교적 해결”이라는 의제의 민감성 때문일 수 있다.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뒤 북-미 협상이 소강상태에 빠진 형국에서 러시아가 비핵화 문제와 관련해 미국의 분위기와 어긋나는 내용을 합의문에 담는 게 부담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구갑우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미국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데 러시아가 굳이 미국과 갈등을 빚을 필요는 없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되레 북쪽에서 ‘공동성명 없는 회담’을 요청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북한이 지난해 9월 평양선언에 ‘영변 카드’를 넣은 게 결국 미국의 요구 수준을 높였다는 판단을 할 것”이라며 “김 위원장이 ‘미국의 용단’을 기다리겠다고 한 연말 전에 비핵화 관련 합의를 노출하기는 부담스러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회담이 국빈방문이 아닌 실무형 회담이라는 점, 실질적인 회담 준비 기간이 길지 않았을 것이라는 점도 공동성명을 내지 않기로 한 이유가 될 수 있다. 양국 간 이견 때문에 성명을 못 낸 게 아니라는 점을 미리 알리는 방법일 수 있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