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12.26 19:24
수정 : 2019.12.27 02:01
|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초청 오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초청 오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북한이 진정성을 갖고 비핵화를 실천해 나간다면 국제사회도 이에 상응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밝혔다. 북한이 내건 ‘연말 시한’에 접어든 가운데 국제사회에 대북 제재 완화를 통해 북-미 대화 동력을 함께 살리자고 호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제 기고 전문 매체인 <프로젝트 신디케이트>에 보낸 글에서 “평화가 아무리 절실해도, 한국 마음대로 속도를 낼 수는 없다.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는 더 많은 행동이 필요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프로젝트 신디케이트>는 세계 157개국 508개 언론사를 회원으로 보유한 기고 전문 매체다.
문 대통령은 북한과 미국이 비핵화를 두고 팽팽히 맞선 상황이지만 대화 의지를 갖고 있다고 진단했다. 문 대통령은 “평화는 고요한 상태가 아니다. 평화의 열망을 간직하면서 떠들썩하게 자기주장을 하고, 여기저기 찬성과 반대에 부딪히는 과정이 모두 평화다.
평화는 행동 없이 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 핵, 미사일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고 북한은 여전히 마음을 다 열지 않고 있다. 북한과 미국은 서로 상대가 먼저 행동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다행인 것은 북·미 정상 간의 신뢰가 여전하고 대화를 이어가고자 하는 의지도 변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순방 때도 “북한의 비핵화가 되돌릴 수 없는 단계에 왔다는 판단이 선다면 유엔 제재 완화를 통해 북한의 비핵화를 더욱 촉진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특히 국제사회가 제재 완화 가능성을 열어둠으로써 북한을 협상장으로 나오게 하고, 북-미 대화 불씨를 살려가야 한다는 점을 각별히 강조했다. 그는 “북-미 간 실무 협상과 3차 북-미 정상회담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구축을 위한 전체 과정에서 가장 중대한 고비가 될 것”이라며 “그 어느 때보다 국제사회의 지지와 공동행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23일 베이징에서 열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한-중 정상회담 때도 중국이 러시아와 함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낸 대북 제재 완화 결의안이 북한의 무력 실험을 멈추게 할 만한 방안이라는 데 공감을 표시했다. 미국이 ‘선 비핵화 뒤 제재 해제’라는 완강한 태도를 고수하고 있고, 북한이 미국에 ‘새로운 계산법’을 보이라며 버티고 있는 답답한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같은 맥락에서 문 대통령은 미국에도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그는 “행동에 행동으로 화답해야 하고, 국제사회가 함께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며 단계적이고 동시적인 비핵화 해법을 당부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미 대화가 중요하지만, 거기에 모든 것을 맡겨두고 기다릴 수만은 없다는 문 대통령의 뜻이 담긴 것”이라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