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11.04 23:29
수정 : 2019.11.05 02:42
|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왼쪽 둘째) 등 각국 정상이 4일 오후 타이 방콕 임팩트 포럼에서 열린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정상회의에서 기념사진을 찍으며 환하게 웃고 있다. 왼쪽부터 스콧 모리슨 오스트레일리아 총리, 아베 총리, 문 대통령,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 방콕/연합뉴스
|
청 “아세안+3 정상회의 앞
사전협의 없이 환담”
문 “고위급 협의도 검토” 제의에
아베 “모든 방법 통해 노력하자”
양국관계 ‘출구’까진 갈 길 먼 듯
일 외무성 “아베, 양국간 문제에
원칙적 입장 확실히 전달”
|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왼쪽 둘째) 등 각국 정상이 4일 오후 타이 방콕 임팩트 포럼에서 열린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정상회의에서 기념사진을 찍으며 환하게 웃고 있다. 왼쪽부터 스콧 모리슨 오스트레일리아 총리, 아베 총리, 문 대통령,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 방콕/연합뉴스
|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타이(태국)를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4일(현지시각)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만나 “양국 관계 현안을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원칙에 공감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이 정상회의에 앞서 인도네시아, 베트남 정상들과 환담했고, 뒤늦게 도착한 아베 총리를 옆자리로 인도해 아침 8시35분에서 8시46분까지 11분간 단독 환담했다”며 “두 정상은 한-일 관계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며 양국 관계 현안은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다른 아세안 각국 정상들과 이야기를 나누던 중에 아베 총리가 들어오자 ‘잠시 앉아 이야기를 나누자’고 권하면서 이뤄진, 사전협의 없던 환담이었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별도로 만난 것은 지난 7월 일본 정부가 수출규제 조치를 취하며 양국 관계가 악화한 뒤 처음이자, 지난해 9월 미국 뉴욕 유엔총회 정상회담 뒤 1년1개월 만이다. 고 대변인은 “매우 우호적이며 진지한 분위기 속에서 환담이 이어졌다”며 “문 대통령은 필요하다면 보다 고위급 협의를 하는 방안도 검토해보자고 제의했고 아베 총리는 모든 가능한 방법을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도록 노력하자고 답했다”고 전했다.
두 정상의 ‘13개월 만의 환담’은 냉담한 한-일 관계에 긍정적 변화 가능성을 보여준 신호로 풀이된다. 일본이 대한국 수출 규제에 나서기 직전인 지난 6월 말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당시 두 정상이 대화 없이 헤어졌던 것과 달리, 지난달 이낙연 국무총리가 한-일 총리 회담을 한 데 이어 이날 두 정상이 환담을 나누면서 양국 관계가 전환점을 맞고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두 정상의 환담 뒤 청와대는 “양 정상은 최근 양국 외교부의 공식 채널로 진행되고 있는 협의를 통해 실질적 관계 진전 방안이 도출되기를 희망했다”고 밝혔다. 환담에서 아베 총리는 문 대통령의 어머니상에 조의를 표하며 지난달 일왕 즉위식에 이낙연 총리를 파견해준 데 사의를 전달했고, 문 대통령은 조의에 사의를 표하면서 일왕 즉위를 축하하고, 이 총리를 환대해준 데 사의를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강제동원 해법, 수출 규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종료 문제가 복잡하게 얽힌 양국 관계의 출구까지는 갈 길이 멀어 보인다. 특히 일본 외무성은 이날 “아베 총리가 문 대통령에게 양국 간 문제에 우리 나라(일본)의 원칙적인 입장을 확실히 전달했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가 한국 대법원의 강제동원 배상 판결은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 위반에 해당하기 때문에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전했다는 것이다.
김숙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대외전략연구실장은 “일본에서는 ‘한국이 강제동원에 대한 해법을 내야만 한-일 관계가 풀릴 수 있다’는 입장이 단호하다. 정상 간 11분간의 만남으로 관계의 돌파구가 마련되기는 어렵다”며 “다만 아베 총리도 최근 들어 더이상 한-일 관계를 방치할 수는 없다는 뜻을 밝히고 있고, 양국이 대화의 필요성은 공감하고 있다는 점이 변화”라고 말했다. 김 연구실장은 정부의 강제동원 피해자들과의 적극적인 소통, 한·일이 참여하는 재단 설립을 통한 해법 마련, 불완전한 한-일 협정에 대한 지속적인 보완 등으로 해법이 마련될 수 있다면서, 시간이 많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종료(23일 0시)가 다가오고 미국이 지소미아 연장 필요성을 지속해서 제기하는 가운데 한·미·일이 이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지도 중요한 시험대로 떠오르고 있다. 데이비드 스틸웰 미국 국무부 차관보는 5~7일 방한해 청와대·외교부·국방부 당국자들을 만나 ‘한·미·일 3각 협력’을 강조하면서 지소미아 연장을 바라는 미국의 입장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방콕/이완 기자, 박민희 기자, 도쿄/조기원 특파원
wani@hani.co.kr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