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1.13 17:08 수정 : 2019.11.14 02:34

김재현ㅣ산림청장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사용한 목재의 양은 3천만㎥이다. 이만큼을 평지에 쌓는다고 가정하면, 가로세로 각 1.7㎞의 길이로 높이 10m만큼 쌓을 수 있는 정도의 양이다. 이 가운데 85%는 외국에서 수입하고 15% 정도만 국산 목재로 자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연간 산림생장량도 지난해 쓴 목재의 양과 같은 약 3천만㎥이므로 15%에 해당하는 약 450만㎥를 우리나라 산림에서 벌채하여 사용한다. 나머지 85%에 해당하는 약 2550만㎥는 지구촌 어디선가에서 벌채되어 수입되고 있는 것이다.

산림은 이처럼 많은 목재 생산을 담당할 뿐 아니라 온실가스 흡수, 홍수 예방, 휴양공간 제공 등의 중요한 기능도 담당한다. 산림이 가진 다양한 기능을 온전히 미래세대에 전해줄 수 있도록 산림을 지속가능하게 관리하고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산림청은 목재 생산량을 늘려 자급률을 높이는 한편, 수입 목재에 대해서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통해 생산된 목재라는 인증을 받아 합법적으로 벌채된 목재만 수입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 ‘지속가능한 산림원칙’ 이행수단으로 ‘산림인증제도’를 논의한 것이다. 산림인증제도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기준과 지표에 따라 산림경영을 했다는 것을 제3자가 인증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이런 국제사회의 흐름에 동참하여 제도를 도입하였으나, 국민들의 인지도가 미미하고 산림인증제품을 찾는 수요자도 많지 않은 형편이어서 제도 도입의 실효성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산림인증제도에 대해 국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인식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국제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산림인증제도는 산림관리협의회(FSC) 인증과 산림인증승인프로그램(PEFC) 인증 두가지다. 이 중 전자는 1993년부터 운영되고 있으며, 지난해 말까지 전세계 약 2억㏊의 산림이 인증을 받았다. 후자는 국가별로 자국에 적합한 산림인증제도를 마련·시행하고 이를 상호 간에 인정해주는 방식이다. 1999년 출범 이후 현재 40여개국에서 3억2천만㏊ 이상의 산림이 이 제도에 의해 인증을 받았다.

2006년부터 에프에스시 인증을 시범적으로 도입한 이후 우리나라는 자체 인증제도인 ‘한국산림인증제도’(KFCC)를 마련했다. 2015년에 시작되어 지난해까지 27만㏊의 산림이 인증됐으며, 올해 말까지 약 60만㏊의 산림이 인증될 예정이다.

산림 벌채라고 하면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의 목재 수요량은 증가하고 있고, 생활에서도 목재는 필수재로 자리하고 있다. 목재는 목조주택뿐 아니라 건설재, 그리고 종이와 화장지의 원료가 되는 펄프재로서도 필요하다. 이처럼 목재 수요는 지속적이며 필수적이기에 산림 벌채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우선돼야 한다. 이것이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해야 하는 이유다. ‘한국산림인증제도’를 통해 산림인증 면적을 우리나라 경제림 면적인 240만㏊까지 높여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시행해 나가야 한다. 우리가 필요한 목재를 현명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산림청이 앞장서고자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