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 사무처장 서울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장이 있다. 하루 이용 승객 730여만명인 서울지하철을 운전자가 없는 무인운전(DTO: Driverless Train Operation)으로 운영하겠다고 한다. 더 나아가 지하철역에 근무하는 직원도 없애겠다고 한다. 이름도 거창한 4차 산업혁명의 일환이다. 신기술의 발달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강변하고 있다.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와 상왕십리역 열차 추돌 사고, 구의역 사고의 교훈은 전혀 고려 대상이 아니다. 지하철 안에서 불이 나거나 차량 고장이나 신호 장애로 열차가 추돌하는 대형 사고가 일어날 경우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상할 수 없는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용 승객의 크고 작은 불편을 바로 호소할 수 있는 직원이 사라진다면 시민 안전과 편의는 보장받을 수 없다. 기술이 아무리 발달한다고 해도 사람이 대신할 수 있는 영역은 따로 있다.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다루는 분야만큼은 사람이 맡아야 하며, 그것도 비정규직이 아닌 정규직이 책임져야 한다는 것은 세월호 참사가 우리 사회에 심어준 교훈이다. 서울교통공사는 기존 서울지하철공사(1~4호선 운영)와 서울도시철도공사(5~8호선 운영)가 통합된 조직이다. 김영삼 정권 시절 민주산악회 회원들의 일자리 만들기와, 서울 지역의 거대 노조 출현을 부담스러워한 정권과 자본의 이해가 맞아 지난 20년 분리 운영되어 왔다. 그 당시 서울지하철노조는 분리 운영에 따른 안전 시스템의 이원화, 중복 투자와 불필요한 경쟁 유발 등의 이유를 들어 통합 운영을 주장했다. 세월호 참사와 구의역 사고를 통해 노조의 요구가 비로소 검증되면서 지난해 통합 공사가 출범했다. 사측은 ‘통합 이후 사고 건수가 5건으로 2016년(12건)보다 절반 이상 줄었으며 이용 승객의 만족도는 향상되었다’고 자랑하고 있다. 이는 통합 과정에서 중복 업무 등의 이유로 1029명의 감원이 이뤄져 현장 안전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직원들이 앞서 노력한 결과다. 서울교통공사 초대 사장인 김태호씨는 전문경영인 출신으로 양 공사 사장에 이어 통합 공사 사장도 역임하고 있다. 2014년부터 4년째 재임 중이지만 직원들의 평가는 냉혹하다. 시민안전 위협, 독단적인 경영 등을 이유로 진행된 사장 퇴진 서명운동에 90%가 넘는 조합원들이 참여했다. 제왕적 경영은 도를 넘고 있다. 8호선 무인운전은 이미 2016년 박원순 시장의 반대로 추진이 중단된 상태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의 외피를 쓰고 무인역사와 함께 슬그머니 되살아났다. 이미 자체 조사 결과 이용 시민의 90%가 무인운전을 반대하고 있는데도 단기적 경영 성과를 내세워 밀어붙이고 있다. 심지어 최근 사회 문제가 된 지하터널 안의 발암물질인 라돈 검출과 미세먼지 대책에 대해서 노사 대화를 요구했지만 교섭 날짜를 정해놓고도 뚜렷한 이유 없이 불참했다. 구의역 사고 후 노·사·민·정으로 구성된 시민대책위원회 진상조사단에서 제출한 80여개의 지하철 안전개선 권고안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서울 최대 공기업을 사기업처럼 운영하는 경영은 조직의 앞날을 어둡게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지도자 교육을 강제하면서 6개월 단위로 본사 핵심 경영진들이 교체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예산이 낭비되고 있다. 이런 경영진들이 제출한 4차 산업혁명 과제 중에는 구의역 사고의 원인 중 하나인 1인 근무 제안이 버젓이 올라오고, 사장은 이를 적극 검토하라고 지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영진에 대한 신뢰와 존경이 사라지면서 직원들에 대한 감시와 징계가 남발되고 있다. 성희롱으로 징계를 받은 간부를 피해자가 근무하는 곳과 가까운 역의 센터장으로 발령을 내고, 그것도 부족해 피해자의 동향을 감시 감독하는 행위가 자행돼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사회적 질타를 받기도 했다. 최근에는 판문점 정상회담을 축하하는 지하철역 의견 광고를 정치적 이유로 거부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지금 서울교통공사는 책임경영, 안전경영, 인권경영이 사라지고 이명박·오세훈 시장 시절의 갑질 경영이 되풀이되고 있다. ‘시대와 나란히, 시민과 나란히’라는 박원순 시장의 선거공약과 ‘10년 변화를 책임지겠다’는 잔잔한 다짐이 이 여름 시원하게 느껴진다. 이러한 박 시장의 시대정신과 시정철학이 훼손되지 않길 바란다.
왜냐면 |
[왜냐면] 시대와 나란히 가지 못하는 서울지하철 경영 / 황철우 |
황철우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 사무처장 서울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장이 있다. 하루 이용 승객 730여만명인 서울지하철을 운전자가 없는 무인운전(DTO: Driverless Train Operation)으로 운영하겠다고 한다. 더 나아가 지하철역에 근무하는 직원도 없애겠다고 한다. 이름도 거창한 4차 산업혁명의 일환이다. 신기술의 발달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강변하고 있다.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와 상왕십리역 열차 추돌 사고, 구의역 사고의 교훈은 전혀 고려 대상이 아니다. 지하철 안에서 불이 나거나 차량 고장이나 신호 장애로 열차가 추돌하는 대형 사고가 일어날 경우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상할 수 없는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용 승객의 크고 작은 불편을 바로 호소할 수 있는 직원이 사라진다면 시민 안전과 편의는 보장받을 수 없다. 기술이 아무리 발달한다고 해도 사람이 대신할 수 있는 영역은 따로 있다.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다루는 분야만큼은 사람이 맡아야 하며, 그것도 비정규직이 아닌 정규직이 책임져야 한다는 것은 세월호 참사가 우리 사회에 심어준 교훈이다. 서울교통공사는 기존 서울지하철공사(1~4호선 운영)와 서울도시철도공사(5~8호선 운영)가 통합된 조직이다. 김영삼 정권 시절 민주산악회 회원들의 일자리 만들기와, 서울 지역의 거대 노조 출현을 부담스러워한 정권과 자본의 이해가 맞아 지난 20년 분리 운영되어 왔다. 그 당시 서울지하철노조는 분리 운영에 따른 안전 시스템의 이원화, 중복 투자와 불필요한 경쟁 유발 등의 이유를 들어 통합 운영을 주장했다. 세월호 참사와 구의역 사고를 통해 노조의 요구가 비로소 검증되면서 지난해 통합 공사가 출범했다. 사측은 ‘통합 이후 사고 건수가 5건으로 2016년(12건)보다 절반 이상 줄었으며 이용 승객의 만족도는 향상되었다’고 자랑하고 있다. 이는 통합 과정에서 중복 업무 등의 이유로 1029명의 감원이 이뤄져 현장 안전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직원들이 앞서 노력한 결과다. 서울교통공사 초대 사장인 김태호씨는 전문경영인 출신으로 양 공사 사장에 이어 통합 공사 사장도 역임하고 있다. 2014년부터 4년째 재임 중이지만 직원들의 평가는 냉혹하다. 시민안전 위협, 독단적인 경영 등을 이유로 진행된 사장 퇴진 서명운동에 90%가 넘는 조합원들이 참여했다. 제왕적 경영은 도를 넘고 있다. 8호선 무인운전은 이미 2016년 박원순 시장의 반대로 추진이 중단된 상태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의 외피를 쓰고 무인역사와 함께 슬그머니 되살아났다. 이미 자체 조사 결과 이용 시민의 90%가 무인운전을 반대하고 있는데도 단기적 경영 성과를 내세워 밀어붙이고 있다. 심지어 최근 사회 문제가 된 지하터널 안의 발암물질인 라돈 검출과 미세먼지 대책에 대해서 노사 대화를 요구했지만 교섭 날짜를 정해놓고도 뚜렷한 이유 없이 불참했다. 구의역 사고 후 노·사·민·정으로 구성된 시민대책위원회 진상조사단에서 제출한 80여개의 지하철 안전개선 권고안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서울 최대 공기업을 사기업처럼 운영하는 경영은 조직의 앞날을 어둡게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지도자 교육을 강제하면서 6개월 단위로 본사 핵심 경영진들이 교체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예산이 낭비되고 있다. 이런 경영진들이 제출한 4차 산업혁명 과제 중에는 구의역 사고의 원인 중 하나인 1인 근무 제안이 버젓이 올라오고, 사장은 이를 적극 검토하라고 지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영진에 대한 신뢰와 존경이 사라지면서 직원들에 대한 감시와 징계가 남발되고 있다. 성희롱으로 징계를 받은 간부를 피해자가 근무하는 곳과 가까운 역의 센터장으로 발령을 내고, 그것도 부족해 피해자의 동향을 감시 감독하는 행위가 자행돼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사회적 질타를 받기도 했다. 최근에는 판문점 정상회담을 축하하는 지하철역 의견 광고를 정치적 이유로 거부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지금 서울교통공사는 책임경영, 안전경영, 인권경영이 사라지고 이명박·오세훈 시장 시절의 갑질 경영이 되풀이되고 있다. ‘시대와 나란히, 시민과 나란히’라는 박원순 시장의 선거공약과 ‘10년 변화를 책임지겠다’는 잔잔한 다짐이 이 여름 시원하게 느껴진다. 이러한 박 시장의 시대정신과 시정철학이 훼손되지 않길 바란다.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 사무처장 서울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장이 있다. 하루 이용 승객 730여만명인 서울지하철을 운전자가 없는 무인운전(DTO: Driverless Train Operation)으로 운영하겠다고 한다. 더 나아가 지하철역에 근무하는 직원도 없애겠다고 한다. 이름도 거창한 4차 산업혁명의 일환이다. 신기술의 발달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강변하고 있다.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와 상왕십리역 열차 추돌 사고, 구의역 사고의 교훈은 전혀 고려 대상이 아니다. 지하철 안에서 불이 나거나 차량 고장이나 신호 장애로 열차가 추돌하는 대형 사고가 일어날 경우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상할 수 없는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용 승객의 크고 작은 불편을 바로 호소할 수 있는 직원이 사라진다면 시민 안전과 편의는 보장받을 수 없다. 기술이 아무리 발달한다고 해도 사람이 대신할 수 있는 영역은 따로 있다.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다루는 분야만큼은 사람이 맡아야 하며, 그것도 비정규직이 아닌 정규직이 책임져야 한다는 것은 세월호 참사가 우리 사회에 심어준 교훈이다. 서울교통공사는 기존 서울지하철공사(1~4호선 운영)와 서울도시철도공사(5~8호선 운영)가 통합된 조직이다. 김영삼 정권 시절 민주산악회 회원들의 일자리 만들기와, 서울 지역의 거대 노조 출현을 부담스러워한 정권과 자본의 이해가 맞아 지난 20년 분리 운영되어 왔다. 그 당시 서울지하철노조는 분리 운영에 따른 안전 시스템의 이원화, 중복 투자와 불필요한 경쟁 유발 등의 이유를 들어 통합 운영을 주장했다. 세월호 참사와 구의역 사고를 통해 노조의 요구가 비로소 검증되면서 지난해 통합 공사가 출범했다. 사측은 ‘통합 이후 사고 건수가 5건으로 2016년(12건)보다 절반 이상 줄었으며 이용 승객의 만족도는 향상되었다’고 자랑하고 있다. 이는 통합 과정에서 중복 업무 등의 이유로 1029명의 감원이 이뤄져 현장 안전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직원들이 앞서 노력한 결과다. 서울교통공사 초대 사장인 김태호씨는 전문경영인 출신으로 양 공사 사장에 이어 통합 공사 사장도 역임하고 있다. 2014년부터 4년째 재임 중이지만 직원들의 평가는 냉혹하다. 시민안전 위협, 독단적인 경영 등을 이유로 진행된 사장 퇴진 서명운동에 90%가 넘는 조합원들이 참여했다. 제왕적 경영은 도를 넘고 있다. 8호선 무인운전은 이미 2016년 박원순 시장의 반대로 추진이 중단된 상태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의 외피를 쓰고 무인역사와 함께 슬그머니 되살아났다. 이미 자체 조사 결과 이용 시민의 90%가 무인운전을 반대하고 있는데도 단기적 경영 성과를 내세워 밀어붙이고 있다. 심지어 최근 사회 문제가 된 지하터널 안의 발암물질인 라돈 검출과 미세먼지 대책에 대해서 노사 대화를 요구했지만 교섭 날짜를 정해놓고도 뚜렷한 이유 없이 불참했다. 구의역 사고 후 노·사·민·정으로 구성된 시민대책위원회 진상조사단에서 제출한 80여개의 지하철 안전개선 권고안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서울 최대 공기업을 사기업처럼 운영하는 경영은 조직의 앞날을 어둡게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지도자 교육을 강제하면서 6개월 단위로 본사 핵심 경영진들이 교체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예산이 낭비되고 있다. 이런 경영진들이 제출한 4차 산업혁명 과제 중에는 구의역 사고의 원인 중 하나인 1인 근무 제안이 버젓이 올라오고, 사장은 이를 적극 검토하라고 지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영진에 대한 신뢰와 존경이 사라지면서 직원들에 대한 감시와 징계가 남발되고 있다. 성희롱으로 징계를 받은 간부를 피해자가 근무하는 곳과 가까운 역의 센터장으로 발령을 내고, 그것도 부족해 피해자의 동향을 감시 감독하는 행위가 자행돼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사회적 질타를 받기도 했다. 최근에는 판문점 정상회담을 축하하는 지하철역 의견 광고를 정치적 이유로 거부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지금 서울교통공사는 책임경영, 안전경영, 인권경영이 사라지고 이명박·오세훈 시장 시절의 갑질 경영이 되풀이되고 있다. ‘시대와 나란히, 시민과 나란히’라는 박원순 시장의 선거공약과 ‘10년 변화를 책임지겠다’는 잔잔한 다짐이 이 여름 시원하게 느껴진다. 이러한 박 시장의 시대정신과 시정철학이 훼손되지 않길 바란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