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지대 응급구조학과 교수 판문점에서 북한 군인이 ‘귀순’하면서 큰 총상을 입었으나 응급수술을 받고 회복 중이다. 여러 논란이 있었지만 중증외상 진료체계 강화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다시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6년 전에는 ‘아덴만의 영웅’ 석해균 선장 치료를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성공적으로 마쳐 외상응급의료체계 구축 필요성에 대한 여론이 있었다. 이번 일은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반증이다. 국민 청원으로 권역외상센터에 대한 새해 예산이 200억원 증액되었으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정부는 2012년부터 권역외상센터 설치 지원을 시작하여 현재 17곳을 지정하고 9곳을 운영하고 있지만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률이 선진국의 10% 초반대보다 높아 올해 말까지 20% 미만으로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앙응급의료센터 자료에 따르면 작년 응급실 이용자 수 1075만명 가운데 115만명이 외과 환자였고 20만명이 중증외상 환자였다. 선진국이었다면 수많은 중증외상 환자를 살릴 수 있었을 것이다. 작년에 응급의료기금 2500억여원 가운데 440억여원을 중증외상 전문진료체계 구축에 썼다. 하지만 지원체계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할 만큼 열악한 환경과 처우로 의료진의 근무 기피와 병원의 소극적인 투자 등 문제가 많다. 권역외상센터 관련 예산 투입과 별개로 권역외상센터로의 헬기이송 처치와 응급수술 등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체계를 현실화해 지속적인 정상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뒷받침해야 한다. 중증외상 환자가 병원 도착 즉시 응급처치, 응급수술 등 통합적이고 필수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상시체계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 언제 생길지 모르는 중증외상환자 응급수술을 위해서 시설, 장비, 인력을 갖추고 대기하는 것이 병원의 손해가 되지 않도록 보상체계 확립이 절실하다. 병원에 도착하기 전 이송체계 보완도 서둘러야 한다. 심각한 외상환자라면 신속한 이송을 위해 현장 응급처치 시간을 10분 이내로 하고 권역외상센터에 30분 이내 도착하여 한 시간 이내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 상당수 중증외상 환자는 신속한 수술로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적절한 환자를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병원에’ 원칙에 입각하여 권역외상센터에서 신속한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신고 접수, 현장 처치, 병원 이송, 병원 수술 등을 연계시켜야 한다. 응급의료는 응급의료체계이며 응급의료체계에서 외상응급의료체계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왜냐면 |
[왜냐면] 더 많은 응급 외상환자를 살리려면 / 엄태환 |
엄태환
을지대 응급구조학과 교수 판문점에서 북한 군인이 ‘귀순’하면서 큰 총상을 입었으나 응급수술을 받고 회복 중이다. 여러 논란이 있었지만 중증외상 진료체계 강화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다시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6년 전에는 ‘아덴만의 영웅’ 석해균 선장 치료를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성공적으로 마쳐 외상응급의료체계 구축 필요성에 대한 여론이 있었다. 이번 일은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반증이다. 국민 청원으로 권역외상센터에 대한 새해 예산이 200억원 증액되었으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정부는 2012년부터 권역외상센터 설치 지원을 시작하여 현재 17곳을 지정하고 9곳을 운영하고 있지만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률이 선진국의 10% 초반대보다 높아 올해 말까지 20% 미만으로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앙응급의료센터 자료에 따르면 작년 응급실 이용자 수 1075만명 가운데 115만명이 외과 환자였고 20만명이 중증외상 환자였다. 선진국이었다면 수많은 중증외상 환자를 살릴 수 있었을 것이다. 작년에 응급의료기금 2500억여원 가운데 440억여원을 중증외상 전문진료체계 구축에 썼다. 하지만 지원체계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할 만큼 열악한 환경과 처우로 의료진의 근무 기피와 병원의 소극적인 투자 등 문제가 많다. 권역외상센터 관련 예산 투입과 별개로 권역외상센터로의 헬기이송 처치와 응급수술 등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체계를 현실화해 지속적인 정상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뒷받침해야 한다. 중증외상 환자가 병원 도착 즉시 응급처치, 응급수술 등 통합적이고 필수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상시체계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 언제 생길지 모르는 중증외상환자 응급수술을 위해서 시설, 장비, 인력을 갖추고 대기하는 것이 병원의 손해가 되지 않도록 보상체계 확립이 절실하다. 병원에 도착하기 전 이송체계 보완도 서둘러야 한다. 심각한 외상환자라면 신속한 이송을 위해 현장 응급처치 시간을 10분 이내로 하고 권역외상센터에 30분 이내 도착하여 한 시간 이내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 상당수 중증외상 환자는 신속한 수술로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적절한 환자를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병원에’ 원칙에 입각하여 권역외상센터에서 신속한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신고 접수, 현장 처치, 병원 이송, 병원 수술 등을 연계시켜야 한다. 응급의료는 응급의료체계이며 응급의료체계에서 외상응급의료체계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을지대 응급구조학과 교수 판문점에서 북한 군인이 ‘귀순’하면서 큰 총상을 입었으나 응급수술을 받고 회복 중이다. 여러 논란이 있었지만 중증외상 진료체계 강화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다시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6년 전에는 ‘아덴만의 영웅’ 석해균 선장 치료를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성공적으로 마쳐 외상응급의료체계 구축 필요성에 대한 여론이 있었다. 이번 일은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반증이다. 국민 청원으로 권역외상센터에 대한 새해 예산이 200억원 증액되었으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정부는 2012년부터 권역외상센터 설치 지원을 시작하여 현재 17곳을 지정하고 9곳을 운영하고 있지만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률이 선진국의 10% 초반대보다 높아 올해 말까지 20% 미만으로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앙응급의료센터 자료에 따르면 작년 응급실 이용자 수 1075만명 가운데 115만명이 외과 환자였고 20만명이 중증외상 환자였다. 선진국이었다면 수많은 중증외상 환자를 살릴 수 있었을 것이다. 작년에 응급의료기금 2500억여원 가운데 440억여원을 중증외상 전문진료체계 구축에 썼다. 하지만 지원체계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할 만큼 열악한 환경과 처우로 의료진의 근무 기피와 병원의 소극적인 투자 등 문제가 많다. 권역외상센터 관련 예산 투입과 별개로 권역외상센터로의 헬기이송 처치와 응급수술 등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체계를 현실화해 지속적인 정상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뒷받침해야 한다. 중증외상 환자가 병원 도착 즉시 응급처치, 응급수술 등 통합적이고 필수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상시체계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 언제 생길지 모르는 중증외상환자 응급수술을 위해서 시설, 장비, 인력을 갖추고 대기하는 것이 병원의 손해가 되지 않도록 보상체계 확립이 절실하다. 병원에 도착하기 전 이송체계 보완도 서둘러야 한다. 심각한 외상환자라면 신속한 이송을 위해 현장 응급처치 시간을 10분 이내로 하고 권역외상센터에 30분 이내 도착하여 한 시간 이내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 상당수 중증외상 환자는 신속한 수술로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적절한 환자를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병원에’ 원칙에 입각하여 권역외상센터에서 신속한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신고 접수, 현장 처치, 병원 이송, 병원 수술 등을 연계시켜야 한다. 응급의료는 응급의료체계이며 응급의료체계에서 외상응급의료체계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