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7.05.08 18:27 수정 : 2017.05.08 19:32

남기현
서울 송파구 가락본동

삼겹살에 싸 먹는 깻잎, 따끈한 밥에 얹어 먹는 깻잎장아찌. 깻잎을 좋아하지만 조심스레 하나하나 쥐고 흐르는 물에 씻어야 하는 게 귀찮아서 자주 해 먹지는 못한다. 깻잎 겉절이는 할머니의 집약적인 노동과 관대함에 기대어 어쩌다 한번 얻어다 먹을 수 있는 사치이다. 한창 쌀 땐 세 묶음에 천원. 어쨌든 싱싱하고 향긋한 깻잎은 그냥 기분이 좋다. 그런데 지난겨울부터 마트 신선코너에서 깻잎을 마주하는 것이 불편해졌다. 경남 밀양에서 깻잎 따는 일을 하는 캄보디아 여성들의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이다.

깻잎의 경제학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모르겠다. 유통기한이 길지 않은 얇고 섬세한 이파리이나, 특유의 향이 음식의 풍미를 배가하는, 한국인의 밥상에서 빠질 수 없는 대표 쌈채소이니 경제성이 나쁘지만은 않을 것 같다. 하우스에서 재배하여 사시사철 합리적인 가격에 전국으로 재빨리 공급하고, 가뜩이나 외부 요인에 취약한 우리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 증대를 이루어내려면 아마도 임금이 낮아도 궂은일을 마다 않는 외국 노동력을 들여오는 게 수지타산이 맞나 보다.

한 묶음에 10장, 한 상자에 100묶음이 들어가는 깻잎을 종일 하우스 안에서 평균 15~20상자까지 따야 하는 하루 노동시간 11시간. 캄보디아 여성 노동자들의 하루 노동이다. 모두가 과로하는 한국 사회에서 11시간이 대수인가 싶을 수도 있겠다. 물론 시급은 8시간밖에 못 받는다. 간이 비닐하우스를 숙소로 제공받고 내야 하는 돈이 한 달에 60만원. 네 명이서 나누어 일인당 15만원을 낸다. 화장실은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인적 드문 시골에서 화장실이 대수인가 할 수도 있겠다. 사장님과 상사들은 어디서나 횡포이며 일하는 사람들을 업신여기는 경우가 허다하니 이것도 넘어가 본다. 우병우도 엄준한 법망을 빠져나가게 생겼다는데, 노동법에 의거해 위반된 사항이 없으니 고용노동부로서 이를 시정할 적극적인 개입이 불가하다는 입장도 이해해보려 하겠다.

그런데 이상하게 나는 이제 깻잎을 먹을 수 없게 되었다. 보드라운 털이 송송 난 하얀 면을 마주할라치면 머리가 핑 돈다. 내가 깻잎을 많이 먹어야 여성 이주노동자들의 일자리도, 들썩이는 농산물 가격에 맘 졸이는 농가도, 그리고 내 건강도 유지될 텐데, 그만 깻잎을 쳐다보기조차 힘들다. 실은 깻잎뿐만이 아니다. 하지만 다시 깻잎을 먹을 수 있게 될 때, 마트에서 마주하기 힘든 다른 채소들의 가짓수도 함께 줄어들지 않을까 싶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