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통연구원 항공안전·드론연구센터장 2005년부터 한성항공을 시작으로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등 저비용항공사가 등장하면서 우리나라 항공교통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작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공역을 이용한 항공기 운항 대수는 총 73만9천대로, 10년 전 대비 약 80%이상 항공기 운항 대수가 증가하였다. 항공교통량의 증가로 항공운송시장에는 많은 이익을 가져오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의 제한된 하늘길에 항공교통량이 급증하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 공항의 연간 항공교통량은 전세계 항공교통량의 연간 증가율인 4.7%보다 매우 높은 9.0%로 증가하여 현재 우리나라 공항에서 항공기 운항 지연의 원인이 되고 있다. 제주공항의 경우 항공기 운항 지연율은 약 13%로 국내 공항의 평균 지연율인 6.8%보다 약 2배 높으며, 작년 제주공항에서 하루 동안 운항하는 항공기 대수인 426대 중 55대가 출발 전부터 운항이 지연됐다. 특히 제주공항보다 항공교통량이 많은 인천공항이나 김포공항에서 10%에 육박하는 지연율이 발생한다면 비즈니스 여행객은 물론 항공기 연결편 지연, 항공기 운항 스케줄 변경 등 이용자의 불편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국토교통부는 항공교통량 증가에 대비해 항공기가 운항하는 공간인 공역 내에 항공기 간 수직분리 축소와 성능기반 항행 계기비행절차를 적용한 공역의 재설계 및 복선항공로화, 제2 항공교통센터 건설 등의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구축하였다. 하지만 미래 국가 공역 내에는 항공기뿐만 아니라 드론과 같은 무인기도 함께 운영될 수 있다. 최근 아마존, 이항 등 해외 서비스 제공 업체들은 드론을 이용한 물건 운송, 드론택시 운행 등을 목적으로 시험비행을 완료하였으며, 미국, 유럽 등에서는 항공기와 무인기를 혼용하여 공역을 사용하도록 실증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즉 미래의 공역은 매우 복잡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공역의 다각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현재 도입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선 우리나라 공역에 대한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항공 선진국들은 안전성과 효율성 외에 경제, 환경 향상을 위한 공역 성능 평가 방안을 연구하고 현재 운영하는 공역에 대하여 과거 대비 성능지수 비교분석을 통해 개선사항 등을 제시하기도 한다. 우리나라도 공역 관리의 목적으로 교통량 통계 위주의 사용실적을 매년 보고하지만, 해외 사례처럼 공역 데이터 전문분석센터를 신설하거나 전문기관을 지정하여 공역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및 평가부터 공역의 개선방안, 검증까지 제시할 수 있도록 투자되어야 한다. 공역을 최적화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식별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과 검증까지 제시될 수 있도록 공역 데이터의 체계적인 분석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왜냐면 |
[왜냐면] 우리나라 하늘길 혼잡해소 가능한가 / 한재현 |
한재현
한국교통연구원 항공안전·드론연구센터장 2005년부터 한성항공을 시작으로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등 저비용항공사가 등장하면서 우리나라 항공교통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작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공역을 이용한 항공기 운항 대수는 총 73만9천대로, 10년 전 대비 약 80%이상 항공기 운항 대수가 증가하였다. 항공교통량의 증가로 항공운송시장에는 많은 이익을 가져오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의 제한된 하늘길에 항공교통량이 급증하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 공항의 연간 항공교통량은 전세계 항공교통량의 연간 증가율인 4.7%보다 매우 높은 9.0%로 증가하여 현재 우리나라 공항에서 항공기 운항 지연의 원인이 되고 있다. 제주공항의 경우 항공기 운항 지연율은 약 13%로 국내 공항의 평균 지연율인 6.8%보다 약 2배 높으며, 작년 제주공항에서 하루 동안 운항하는 항공기 대수인 426대 중 55대가 출발 전부터 운항이 지연됐다. 특히 제주공항보다 항공교통량이 많은 인천공항이나 김포공항에서 10%에 육박하는 지연율이 발생한다면 비즈니스 여행객은 물론 항공기 연결편 지연, 항공기 운항 스케줄 변경 등 이용자의 불편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국토교통부는 항공교통량 증가에 대비해 항공기가 운항하는 공간인 공역 내에 항공기 간 수직분리 축소와 성능기반 항행 계기비행절차를 적용한 공역의 재설계 및 복선항공로화, 제2 항공교통센터 건설 등의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구축하였다. 하지만 미래 국가 공역 내에는 항공기뿐만 아니라 드론과 같은 무인기도 함께 운영될 수 있다. 최근 아마존, 이항 등 해외 서비스 제공 업체들은 드론을 이용한 물건 운송, 드론택시 운행 등을 목적으로 시험비행을 완료하였으며, 미국, 유럽 등에서는 항공기와 무인기를 혼용하여 공역을 사용하도록 실증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즉 미래의 공역은 매우 복잡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공역의 다각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현재 도입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선 우리나라 공역에 대한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항공 선진국들은 안전성과 효율성 외에 경제, 환경 향상을 위한 공역 성능 평가 방안을 연구하고 현재 운영하는 공역에 대하여 과거 대비 성능지수 비교분석을 통해 개선사항 등을 제시하기도 한다. 우리나라도 공역 관리의 목적으로 교통량 통계 위주의 사용실적을 매년 보고하지만, 해외 사례처럼 공역 데이터 전문분석센터를 신설하거나 전문기관을 지정하여 공역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및 평가부터 공역의 개선방안, 검증까지 제시할 수 있도록 투자되어야 한다. 공역을 최적화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식별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과 검증까지 제시될 수 있도록 공역 데이터의 체계적인 분석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한국교통연구원 항공안전·드론연구센터장 2005년부터 한성항공을 시작으로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등 저비용항공사가 등장하면서 우리나라 항공교통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작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공역을 이용한 항공기 운항 대수는 총 73만9천대로, 10년 전 대비 약 80%이상 항공기 운항 대수가 증가하였다. 항공교통량의 증가로 항공운송시장에는 많은 이익을 가져오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의 제한된 하늘길에 항공교통량이 급증하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 공항의 연간 항공교통량은 전세계 항공교통량의 연간 증가율인 4.7%보다 매우 높은 9.0%로 증가하여 현재 우리나라 공항에서 항공기 운항 지연의 원인이 되고 있다. 제주공항의 경우 항공기 운항 지연율은 약 13%로 국내 공항의 평균 지연율인 6.8%보다 약 2배 높으며, 작년 제주공항에서 하루 동안 운항하는 항공기 대수인 426대 중 55대가 출발 전부터 운항이 지연됐다. 특히 제주공항보다 항공교통량이 많은 인천공항이나 김포공항에서 10%에 육박하는 지연율이 발생한다면 비즈니스 여행객은 물론 항공기 연결편 지연, 항공기 운항 스케줄 변경 등 이용자의 불편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국토교통부는 항공교통량 증가에 대비해 항공기가 운항하는 공간인 공역 내에 항공기 간 수직분리 축소와 성능기반 항행 계기비행절차를 적용한 공역의 재설계 및 복선항공로화, 제2 항공교통센터 건설 등의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구축하였다. 하지만 미래 국가 공역 내에는 항공기뿐만 아니라 드론과 같은 무인기도 함께 운영될 수 있다. 최근 아마존, 이항 등 해외 서비스 제공 업체들은 드론을 이용한 물건 운송, 드론택시 운행 등을 목적으로 시험비행을 완료하였으며, 미국, 유럽 등에서는 항공기와 무인기를 혼용하여 공역을 사용하도록 실증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즉 미래의 공역은 매우 복잡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공역의 다각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현재 도입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선 우리나라 공역에 대한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항공 선진국들은 안전성과 효율성 외에 경제, 환경 향상을 위한 공역 성능 평가 방안을 연구하고 현재 운영하는 공역에 대하여 과거 대비 성능지수 비교분석을 통해 개선사항 등을 제시하기도 한다. 우리나라도 공역 관리의 목적으로 교통량 통계 위주의 사용실적을 매년 보고하지만, 해외 사례처럼 공역 데이터 전문분석센터를 신설하거나 전문기관을 지정하여 공역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및 평가부터 공역의 개선방안, 검증까지 제시할 수 있도록 투자되어야 한다. 공역을 최적화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식별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과 검증까지 제시될 수 있도록 공역 데이터의 체계적인 분석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