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2.29 19:56 수정 : 2012.02.29 19:56

일러스트레이션 김선웅

어제 졸업식이 있었다. 일찌감치 나서 교정을 오르는데 차가운 날씨에도 공기는 왜 이리 맑은지 촌스럽게 코끝이 찡해 피식 웃음이 터져 나왔다. 검은 가운 둘러 입고 단과대를 한 바퀴 도니 이미 무리가 형성돼 너도나도 사진을 찍느라 정신이 없었다. 친한 동생과 눈이 마주쳤는데 또 한번 울컥해 글썽이다 그냥 까르르 웃어버렸다. 앞으로 자주 못 볼 걸 알지만 그래도 우리의 끈끈함은 계속되리라 묵언의 약속을 했다. 그런데 어쩐지 친구 몇의 모습이 보이질 않는다.

나는 서울 한복판에서 그래도 알아준다는 4년제 대학 학부생이다. 아니, 이제 졸업했으니 졸업생이다. 그렇다. 그 이름도 흔한 ‘88만원 세대’, ‘취준생’(취업준비생), ‘청년 백수’, ‘잉여’다. 그나마 나는 조금 사정이 나은 셈이다. 마지막 학기가 끝날 무렵 다행히 한 중소기업에 인턴으로 입사해 일을 시작했다. 아직 나름의 패기와 보람으로 똘똘 뭉쳐 있지만 진정으로 원하던 분야는 아니다. 여러번 실패를 거치다 우연히 정착했다. 그래서 자꾸 이질감이 든다. 피곤한 몸을 이끌고 퇴근 뒤 집으로 돌아와 습관적으로 다시 컴퓨터를 켠다. 내 기량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있을 것 같은) 그곳을 또다시 찾아 헤맨다. 그만두고 차분히 재취업을 준비할까 싶지만 쏟아질 취업준비금과 쉼에 대한 비난이 두렵기만 하다. 주변인처럼 둥둥 떠 있다.

‘그냥 쉬는’ 20~30대가 56만명이라는 통계 결과가 나왔다. 그중 20대는 33만7000명으로 19명 중 1명이 별 이유 없이 쉬고 있다는 이야기다. 보수지의 한 평론가는 “청년 백수가 무슨 벼슬이냐, 지금 찬밥 더운밥 가릴 때냐”고 으름장을 놓으셨지만 어쩐지 억울하다. 왜 원하는 반찬 골라 한술 뜰 욕심을 가지면 안 되는 것인가. 무조건 찬밥이라도 고맙게 먹어야 하는 것인가. 그동안 스펙 따지며 모아온 오곡백과로 따끈하게 밥 지을 시간도 필요하다. 쉼을 비난하지 말라. 어차피 쉰다고 쉬는 게 아니다.

졸업식 날 볼 수 없었던 적지 않은 수의 동지(?)들은 맨몸으로 취업시장에 뛰어드는 것이 두려워 졸업을 유예했단다. 멀쩡하게 공부 잘했지만, 아직 학생인 ‘척’해야 하니 등록금을 또 내고 5학년, 6학년을 맞이한단다. 기업에서 파릇파릇한 인재들만 뽑는다는 소문 때문이다. 졸업하고 한 학기, 두 학기 쉬고 나면(절대로 쉬는 게 아님에도 말이다) 퇴물 취급을 받을 테니 이렇게라도 해야 한다는 마음가짐일 테다. 왜 우리가 등 떠밀리듯 졸업하고 바짓가랑이 붙잡듯 버텨야 한단 말인가. 쉼을 비난하지 말라. 고민과 준비의 시간을 재촉하지 말라. 아니면 만족스러운 일자리를 쏟아내든지.

김호경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