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6.15 19:31 수정 : 2011.06.15 19:31

김미화 자원순환사회연대 사무총장

전세계가 불안하다. 국제유가가 요동치고, 식량 가격도 천정부지로 올라가고 있다. 기름값이 오르니 서울시내 교통흐름이 원활해지고 있다. 그런데 고물가 시대에 음식물쓰레기가 줄지 않는 것은 왜일까?

우리나라는 식량자급률이 27%로, 쌀을 제외하면 단 4.6%에 불과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식량자급률이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그럼에도 하루에 버리는 음식물쓰레기가 1만4000여t에 이른다. 쌀값이 ㎏당 2000원이니, 버려진 밥이 음식물쓰레기의 30%만 차지해도 하루에 100억원 이상을 버리는 것이다. 이는 재료비가 가장 싼 쌀을 가정했을 때이고, 비싼 생선·육류로 값을 매긴다면 엄청난 비용이 책정될 것이다. 거기에다 조리비용, 처리비용까지 합해진다면 음식물쓰레기를 버림으로써 지불해야 하는 사회적 비용이 상상을 초월한다. 식량 가격이 폭등하는 위기 시대에, 비싼 달러로 식량을 수입해 버린다는 것은 경제적·환경적·윤리적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데 음식물쓰레기를 줄이자고 하니까,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려면 음식물처리기를 사용해서 감량하겠다고 한다. 그것도 지자체가 비용을 보조해서 음식물처리기를 설치해주면서 전기·물 사용을 부추기고 있으니 참으로 답답하다. 음식물처리기는 대부분 비싼 에너지와 수돗물을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말리거나 녹여서 하수도로 흘려보내는 것이다. 그러면 눈앞에서 사라진 음식물쓰레기는 영원히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수 슬러지나 마른 쓰레기로 옷을 바꿔 입을 뿐, 다시 비싼 돈을 들여 처리해야 한다. 우리 단체가 2008년 음식물처리기 설치 아파트를 대상으로 사용 현황을 조사했더니 90% 이상이 악취와 비싼 전기요금 때문에 사용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일부 지자체는 왜 원천 감량을 하지 않고 음식물처리기를 통해서 처리하려고 할까? 음식물처리기를 지원하기보다는 음식물쓰레기를 원천 감량한 주민들에게 직접 비용을 지원해주는 방법이 현명하지 않을까?

고유가를 현명하게 극복하기 위해 전 국민이 동참하여 에어컨을 끄고, 가로등과 네온등 등도 소등하고 있다. 다시 한번, 전 국민이 음식물쓰레기 감량 실천으로 고유가·식량위기 시대를 슬기롭게 극복했으면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