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11.19 21:03 수정 : 2010.11.19 21:05

재래시장 500㎡ 이내 규정은
변칙적 가맹점식 SSM이
진입할 수 있도록 한 셈이다
상인들 희망은 완전히 사라졌다

며칠 전 수년간 진통을 겪어왔던 유통산업발전법이 여야 합의로 국회를 통과했다. 상인들은 이 보도를 보고 늦은 감은 있으나 앞으로 동네에서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피해를 막을 수 있겠구나 하고 기대를 했다.

그러나 개정 유통법의 내용이 그렇지 못하다는 사실을 알고는 떨떠름해하고 있다. 대형마트와 에스에스엠이 신고제에서 등록제로 변한 것은 진전된 사항이지만 전통시장과 전통상점가인 전통상업지역 경계로부터 500㎡ 이내 규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때문이다.

개정 법률은 등록제 대상을 대형마트에서 에스에스엠 가맹점까지 확대했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으나 이미 전통상업지역 내에 진입한 상당수의 에스에스엠을 개정 법률 대상에서 제외한 점은 이 법률의 실효성을 의심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개정법이 시행돼도 마찬가지다. 원래 에스에스엠 문제는 재래시장을 포함하여 모든 골목 상권이 싹쓸이당하는 심각성에서 출발했다. 그런데 재래시장 500㎡ 이내 규정은 이제 이 지역만 회피하면 변칙적인 가맹점식 에스에스엠도 아무 데나 자유롭게 진입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이제 상인들의 희망은 완전히 사라졌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비판의 대안이 고작 중소기업청장이 지정하는 13개에 불과한 ‘전통상점가’ 개념이다. 그러나 이것은 13개 지역을 제외한 수만개에 이르는 전국 동네 상권의 소상인들에게는 의미가 없다.

그나마 재래시장 보호라도 할 수 있다면 개정 유통법이 차선 정도는 되지 않겠느냐는 주장도 요즘 전개되는 양상을 보면 설득력이 많이 떨어진다. 왜냐하면 재래시장 500㎡ 경계를 바로 벗어난 외곽에 시장 진입로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빙 둘러 입점하는 에스에스엠이 늘고 있어 전통시장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개정 예정인 상생법도 마찬가지다. 가맹 에스에스엠도 사업조정 대상에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진전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번개개점, 도둑개점’이 성행하는 현실에서 개정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야는 즉시 유통법 재개정 작업에 돌입해야 할 것이다. 이는 에스에스엠의 진입 규제의 법적 실효성과 소상인 보호의 실제성을 높이는 방향이 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재개정 유통법의 대상에는 이미 입점한 상당수의 에스에스엠도 포함시켜야 할 것이며, 전통상점가를 전국 13개 지역으로 제한하지 말고 시군구 조례에 의해 인구 비례로 확대 지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재래시장 500㎡ 거리 규정을 확대하든지 아니면 적어도 경계 외곽의 에스에스엠 수를 제한하여 실질적인 재래시장 보호라는 법적 취지를 살려야 할 것이다.

개정 예정인 상생법도 위법적인 도둑개점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개점 사전신고제’ 조항을 신설해야 하며 좀더 중요한 것은 위법적 개점에 대한 지금의 단순한 사업 일시중지 권고 수준에서 명령으로 대체하는 실제적인 법률 개정이다.

송재영 복지국가와 진보대통합을 위한 시민회의 정책위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