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10.15 17:59 수정 : 2010.10.15 17:59

9월25일치 ‘<덕혜옹주>표절 유감’에 대한 작가 반론

2007년 <덕혜옹주> 집필을 시작했다. 신문에 게재된 그녀의 어린 시절 사진을 본 게 그 계기였다. 이토록 총명하고 순수한 눈망울을 지닌 아기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라는 무거운 짐을 짊어져야 했다니. 소설을 시작한 이유는 오로지 그녀의 빛바랜 삶이 안타까웠기 때문이다.

자료를 찾기 시작했다. <제국의 후예들>(2006년), <동경대생들에게 들려준 한국사>(2005년) 등 여러 가지 문헌자료들에서부터 <문화방송> 광복 특집 드라마 <덕혜옹주>(1996년)와 <한국방송>의 <한국사-라스트 프린세스 덕혜옹주>(2007년) 등의 영상자료에 이르기까지 구할 수 있는 자료는 모두 살폈다. 그렇게 <덕혜옹주>는 2009년 12월에 출간됐다. ‘옹주를 널리 알리고 싶다’는 바람도 현실화됐다.

그런데 지난 9월 당황스러운 소식을 듣고 말았다. <덕혜희>의 작가 혼마 야스코가 소설 <덕혜옹주>를 표절이라고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혼마 야스코 쪽은 “소설 <덕혜옹주>가 자신의 저작물을 무단차용했으며, (<덕혜희>를) 1차 사료로 참고했다는 말 자체가 표절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했다.

의아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내가 소설의 말미와 강연회에서 <덕혜희>를 언급한 것은 그만큼 그 책이 갖는 의미를 존중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도서관에 헌증하오니 많이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라는 글귀에 담긴 깊은 뜻을 이해했기 때문이며, 일본인으로서 덕혜옹주의 삶에 관심을 가졌다는 게 놀라웠기 때문이다.

덕혜옹주는 역사 속 인물이다. <덕혜희> 역시 다른 이들의 문헌과 사료를 바탕으로 한 전기문이다. 혼마 야스코가 ‘덕혜옹주의 삶’ 자체를 창조한 것이 아닌 이상, 그분의 삶과 황실가족에 대한 역사적 사실은 그 누구의 귀속물도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작가가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범위도 ‘역사적 사실이나 사상을 서술한 부분’이 아닌 ‘창작적으로 표현한 문장’에 국한된다. 그런데 소설 <덕혜옹주>와 전기문 <덕혜희>의 어떤 부분이 표절을 의심케 한다는 말인가? 두 책을 놓고 아무리 비교해보아도 역사적 사실을 제외한 어떤 부분에서도 비슷한 점을 발견할 수 없다.

‘한국과 일본의 거리를 넓히는 데 이용한 소설’이라고 주장한 부분도 마찬가지다. 나는 덕혜옹주의 삶을 한국인의 시각에서 바라봤다. 망국의 한을 지닌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묘사했다. 그녀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만을 기술하려고 했다면 굳이 ‘소설’이라는 장르를 택하지 않았을 것이다. 나는 역사적 사실이 담지 못하는 부분들을 말하기 위해 소설을 썼고, 그렇기에 그녀의 감정을 오롯이 담아낼 수 있었다.

그러한 의도로 집필한 소설을 일본인의 시각에서 판단하는 것은 지극히 위험한 일이다. 그의 표절 시비는 작가가 지닌 표현과 창작의 자유를 제한하려는 매우 비상식적인 발상이다.


권비영 소설가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