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10.15 17:58 수정 : 2010.10.15 17:58

2011학년도 대입 수시모집이 한창 진행중이다. 주말, 휴일만 되면 면접이다 논술이다 적성검사다 하여 대학가가 수험생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최근의 수시모집 과정은 수험생들을 상대로 갖가지 횡포를 부리고 있다. 각 대학들이 ‘갑’이라면 수험생, 학부모들은 ‘을’이다. 학생 선발의 권한이 대학에 있다지만 그 권한이 적절치 못한 방향으로 남용돼선 안 되는 일이다.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은 대학들이 수시모집 기간에 정확한 시험 날짜와 시간, 장소를 사전에 공지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몇 군데 학교를 지원하고도 시험 날짜와 시간이 겹쳐 다른 한 군데는 시험 보기를 포기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보통 7~8군데 대학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은데 부득이한 다른 사정도 아니고 날짜, 시간이 겹쳐 시험장에 가보지도 못한다. 대학 한 곳을 지원하는 데 들어가는 전형료가 거의 10만원에 이르는 현실은 학부모들이 감당해야 할 경제적 손실도 상당함을 말해준다.

대학들의 해명은 더욱 가관이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전형료를 내고도 시험을 보지 못한 수험생들에게는 전형료를 환급해줄 것을 각 대학들에 권고했는데 대학들의 반응은 시큰둥하기만 하다. ‘환급해줄 수 없다’, ‘고려하지 않고 있다’ 등이 대학들의 반응이다. 사전에 자신들의 편의대로 날짜와 시간을 발표하지도 않고서 중복 지원을 한 책임은 수험생 본인에게 있다는 것이다.

대입 수시모집이 그 본래의 취지는 잃어버린 채 돈벌이의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등록금 천만원 시대’의 실현에 이어 대학들은 수시모집을 통해 또하나의 자금 모집을 위한 채널을 보유한 셈이다.

‘수능’이라는 판에 박힌 시험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좀더 다양한 재능과 소양을 가진 학생들을 선발하겠다는 취지로 도입된 수시모집 제도는 이미 그 기능의 상당부분을 상실했다. 그 배후에는 돈벌이에만 혈안이 돼 우수한 학생 선발과 질 높은 교육 서비스의 제공 등 대학 본연의 자세에는 뒷전인 대학들이 존재한다. 주어진 기회는 기회대로 박탈하고 중간에서 전형료만 받아 챙기고 그 책임은 수험생, 학부모들에게만 돌리고 있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대학 등록금 문제는 이미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고, 야심차게 닻을 올린 입학사정관제 역시 시행 초기부터 돈거래로 얼룩지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얄팍한 꼼수로 수험생들의 전형료 받아 챙기기까지 벌어지고 있으니 대학입시의 오염된 정도가 가히 심각한 수준이라 아니할 수 없다.

나석윤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4학년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