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3.28 19:44 수정 : 2010.03.28 19:44





대학 등록금 인하 공론화 위해
선생들이 먼저 나서고
열악한 강사 처우도 알리잔 뜻

2010년 3월 성균관대의 비정규교수노조와 강사협의회는 ‘엉뚱하게도’ 성균관대에 출강하는 대학강사와 비정규직 교수들에게 “강의료 5% 인하”를 제안하고 의견을 묻고 있다. 충분한 의견이 모아지고, 많은 강사들이 동의한다면, 2010학년도 임금단체협상에서 공식적으로 대학에 제안하고자 한다.

이런 구상을 한 이유가 성균관대의 강의료가 ‘전국 최고’ 수준이기 때문, 또는 강의료로 받는 급여가 많기 때문은 결코 아니다. 사실 우리의 강의료를 인하해 보았자 등록금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 안 되겠지만, 성균관대의 강의료 인하를 통해 국민에게 부담이 되고 있는 대학 등록금의 인하를 같이 모색해 보고, 대학의 재정을 거의 전적으로 등록금에 의존하던 방식에서 이제는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을 하기 위함이다. 또한 역설적으로 대학 등록금은 엄청난데, 대학 강의의 절반을 담당하고 있는 대학강사들에 대한 처우는 열악하기 그지없고, 이것이 모두 그들에게 교원의 지위가 부정되고 있기 때문임이 공론화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엉뚱하다 싶은 제안을 하는 것이다.

성균관대의 강의료가 전국에서 최고라고 하지만, 한 강사가 평균 주당 약 4.5시간(성균관대의 전임교수들은 한 학기에 보통 주당 6~9시간 정도를 강의한다) 강의를 하는 성균관대에서 그 시수의 강의에 받는 한 달 급여는 월 100만원 정도이다. 그나마 1년 중 32주 동안만 임금을 받는다. 나머지 20주 동안에는 아무것도 없다. 이런 실상을 보면 대학강사들의 급여는 인하가 아니라 지금 당장 전체 액수를 대폭 늘려야 하고, 방학 중 무급 상태도 마땅히 시정해야 한다.

그럼에도 우리는 강의료를 인하하자는 주장을 하는 것이다. 왜?

대학 등록금이 연 1000만원 시대를 열었다고 하는데, 정작 대학에서 강의하고 연구하는 사람의 절반은 어려운 생활을 면치 못하고 있다. 그동안 천정부지로 치솟은 등록금이지만 그나마 지금 수준에서 머물러 있는 것도, 뒤집어 보면, 대학강사들과 수많은 대학 내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희생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대학과 임금단체협상을 하다 보면, 대학은 재정이 어렵다고 강변한다. 그리고 매년 성대의 강의료는 전국 최고 수준이라는 말도 꼭 덧붙인다. 그런데 성균관대 강사들의 생활은 여전히 팍팍할 뿐이다. 우리는 2010년에는 시간당 강의료 일이천원 인상에 목매는 협상 대신 그동안 우리가 잃어버렸던 자존심을 되찾기로 했고, 역발상의 임단협을 해보자는 결의를 현재 모으는 중이다. 대학 재정에 ‘큰 부담’을 준다는 ‘전국 최고’의 성균관대 강의료를 내려서 대학 재정의 여유를 찾고, 그러면서 등록금 인하의 길을 모색해 보자는 것이다.


우리 사회가 정상적이며, 사회적 책임을 알고 실천하는 대학사회라면, 지금의 대학 등록금이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인하되어야 하고, 또 등록금에 대한 대학의 의존 정도를 낮추어야 한다는 문제제기가 진작 나와야 했다. 각 대학과 교수들이 자신들의 몫은 하나도 내놓지 않으면서, 정부에 대해서만 고등교육 예산을 늘리고 대학에 대한 재정 지원을 늘리라고 요구하고, 자기가 몸담고 있는 대학에서는 구체적으로 한마디 말도 없이, 사립대학 일반에 대해서만 재단전입금을 늘리라고 공허하게 요구하는 것은 공염불을 외는 것과 같다. 이러한 태도와 행동이야말로, 지식인의 진정한 수기치인(修己治人: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은 후에 남을 다스림. 성균관대의 건학이념) 자세 아니겠는가?

임성윤 성균관대 비정규교수노조 분회장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