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9.05.13 23:41
수정 : 2009.05.13 23:41
왜냐면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이후로 한국에는 크고 작은 시위들이 있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부터 시작해서 대운하 반대 및 이명박 정부의 수도·의료 사영화 정책의 반대까지 확장됐던 작년의 촛불시위, 무자비한 재개발로 철거민들의 주거권을 박탈하는 것에 저항했던 용산 시위, 그리고 이명박 정부의 독주에 경고장을 내리는 이번 노동절 시위까지 말이다.
이러한 시위는 정치권에서 의제로 다루지 않는 사회적 갈등을 거리에서 표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정부는 이러한 갈등을 정치적으로 다루기보다는 법으로 엄단하겠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정부가 사회적 갈등을 지나치게 사법적으로만 처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컨대, 용산 참사만 봐도 정부는 “재개발 과정에서 철거민에 대한 불합리한 보상의 문제”라는 사회적 구조의 문제로 다루기보다는,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법적 행태로 인식한다. 샤츠 슈나이더의 “갈등의 확장력을 통제하는 절차가 곧 정치체제의 양상을 결정한다”는 지적을 새겨들을 필요가 있을 듯하다.
하지만 문제는 정부의 대응만이 아니다. 시위를 대하는 언론의 자세다. 신문 시장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보수언론들은 시위대의 폭력성만을 부각한다. 예를 들어 이번 노동절 시위에 대해서 <조선일보>는 ‘시위대가 망친 서울의 주말’, <동아일보>는 ‘폭력 가투 세력이 경제와 민생 흔든다’, <서울신문>은 ‘시민축제 난장판 만든 촛불 폭력’이라는 제목을 올렸고, <한국일보>는 ‘시민행사 무산시킨 촛불 1년 폭력시위’라는 제목의 사설을 실었다. 진보언론은 보수언론과는 반대로 경찰의 폭력성에만 초점을 맞추는 태도를 보였다.
전두환 정권의 언론과 현 언론의 공통점은 ‘배경’보다 ‘폭력성’에 초점을 맞추면서 결국 거리로 분출된 갈등을 ‘정치적 의제’로 다루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언론의 태도는 기득권 세력의 이익만 보장해주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김진두 경기 안성시 대천동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