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09.04 19:58
수정 : 2008.09.04 19:58
왜냐면
우리나라 헌법 제35조 제3항에는 “국가는 주택개발 정책을 통해 국민이 쾌적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는 주거 문제는 개인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것에 우선하여 해결해야 하는 절대적인 요소란 뜻이다. 주택시장에서 양극화 및 주거 격차의 심화로 시장원리로는 해결할 수 없는 저소득층의 주거 문제에 대해 국가 등 공공부문의 개입이 필요함을 법에서 인정한 것이다.
2005년 인구주택 총조사 결과를 보면, 2005년 말 현재 임차가구가 전체 가구 대비 41.4%인 657만가구, 특히 서울 등 수도권은 임차가구가 47.6%에 이르며,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최저 주거기준 미달 가구가 전체 가구의 16.4%인 255만7천가구에 이른다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 주택 중에서 공공 임대주택 비율은 2.7%인 35만9천가구에 머물러 저소득층에 절대 필요한 사회 안전망으로서의 공공 임대주택 물량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공공이 소유하면서 장기적으로 임대로만 사용하는 주택을 10% 이상 확보하지 않고서는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기본적인 인식에서 출발한 국민임대주택 100만가구 건설계획은 참여정부 주거복지 정책의 핵심이며, 지금의 실용정부에서도 그 필요성과 정책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몇 안 되는 정책이다.
현재 국민임대주택 건설은 신규 건설, 부도임대, 다가구 매입임대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시중 전세시세의 55∼83% 수준에서 공급돼 호당 월평균 약 18만4천원의 주거 편익 효과를 내고 있다. 생산유발 효과, 신규 고용창출 효과 등 국민경제를 활성화하는 데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저소득층의 집단 거주지라는 부정적 인식 탓에 지자체 및 지역주민의 건설 반대, 건설 소요 택지 부족, 건설자금 부족 등 산적한 문제들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부정적 인식을 불식하려면, 정부·주공·지자체 등은 건설사업자들이 국민의 지지를 얻을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야 하고, 관련 전문가 및 엔지오 등도 국민임대주택 건설 정책에 대한 건전한 비판과 현실적인 대안 제시가 필요하다. 저소득층 서민에게 내집이란 단순한 거주공간 이상의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최선경 경기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