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검사를 둘러싼 인권위의 권고도 결국 교사와 학생의 마주섬이 과연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 패러다임의 전환에서 우리들은 이제껏 익숙하게 지내왔던 자신의 생각과 교육활동들을 되새겨볼 수는 없는 것일까. 더불어 그런 권고사항이 나오기까지 우리 사회의 변화되고 있는 흐름들을 헤아리면 어떨까. 열심히 노력해온 교사들이 기울인 정성이 다른 한편에서는 바람직한 일이 아니었다는 것을 배반감으로 느낄 것이 아니라 스스로 각성하고 성찰하는 계기로 마주섰으면 좋겠다. 매일매일 깨지며 오히려 우리는 결국 아이들과 더불어 함께 성장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희망을 가슴에 새기며! 배성호/서울 당산초등학교 교사
왜냐면 |
‘일기검사 인권침해’ 판정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
일기검사를 둘러싼 인권위의 권고도 결국 교사와 학생의 마주섬이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 패러다임의 전환에서 우리들은 이제껏 익숙하게 지내왔던 자신의 교육활동들을 되새겨볼 수는 없는 것일까.
최근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의 일기검사 폐지 권고로 많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불만을 토로한다. 사실 일기검사를 열심히 했던 대부분의 교사들이 아이들의 생활을 더 잘 이해하고 바르게 지도하시려고 애썼다는 것을 잘 안다. 하지만, 일기검사 폐지에 대한 권고가 지닌 맥락은 단순히 교육 비전문가가 교육 전문가인 교사들 위에 군림하기 위해 제시한 권고사항이 아니다.
이번 인권위의 권고는 교사들이 지니고 있는, 아니 교사들과 어른들이 지니고 있는 생각의 틀거리 그 자체를 되짚어보게 만든다. 당연하게 여겨졌던 (교육받아야 하는 대상으로서 존재했던) 학생에 대한 인식을 바꾼다면 인권위의 결정은 신선한 시사점을 제시해준다.
현재 학교 안에서 펼쳐지고 있는 교육활동에서 교사들은 곧잘 다인수 학급이 지니는 한계를 모든 문제의 근본 원인처럼 쉽게 결론맺는 경우가 많다. 물론 상당 부분 공감 가는 부분이 많다. 특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우리나라의 학급당 학생수를 나타내는 지표는 열악하다 못해 부끄러울 지경이다. 하지만 좀 더 엄밀히 살펴보면 학급당 학생수가 준다고 해서 학교현장의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고 보기 어렵다. 학급당 학생수가 준다는 것은, 거친 표현을 하자면, 교사가 학생들을 훨씬 수월하게 통제할 수 있고 장악할 수 있는 힘을 지닌다는 의미만 있는 게 아닐까.
이제껏 당연하게 여겨진 일기검사로 인해 정작 교육의 주체라 할 수 있는 아이들은 소외되었다는 현실을 현장 교사들도 성찰해야 할 것이다. 일기지도를 통해 그동안 학생들과 소통해온 선생님들은 따로 대화장을 마련해서 얼마든지 기존의 활동을 펼쳐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글쓰기 지도를 하신 분들은 생활 글쓰기 장을 통해 아이들 스스로 원하지 않는 내적 내용을 존중하면서 교육활동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국가보안법 폐지를 둘러싸고 국민의 단 1%에게만, 아니 그 이하에게만 적용되는 법을 두고 왜 그렇게들 난리냐며 자신의 삶과 무관하게 지나쳐 온 사람들이 처음 겪게 되는 혼란을 우리도 고스란히 겪고 있는 것은 아닐까. 민주주의 사회에서 채 1%도 되지 않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자신의 사상과 양심을 펼칠 수 없다는 것은 곧 그 사회 전체가 자신도 모른 채 보이지 않는 거대한 감옥에 갇힌 것과 같다.
일기검사를 둘러싼 인권위의 권고도 결국 교사와 학생의 마주섬이 과연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 패러다임의 전환에서 우리들은 이제껏 익숙하게 지내왔던 자신의 생각과 교육활동들을 되새겨볼 수는 없는 것일까. 더불어 그런 권고사항이 나오기까지 우리 사회의 변화되고 있는 흐름들을 헤아리면 어떨까. 열심히 노력해온 교사들이 기울인 정성이 다른 한편에서는 바람직한 일이 아니었다는 것을 배반감으로 느낄 것이 아니라 스스로 각성하고 성찰하는 계기로 마주섰으면 좋겠다. 매일매일 깨지며 오히려 우리는 결국 아이들과 더불어 함께 성장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희망을 가슴에 새기며! 배성호/서울 당산초등학교 교사
일기검사를 둘러싼 인권위의 권고도 결국 교사와 학생의 마주섬이 과연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 패러다임의 전환에서 우리들은 이제껏 익숙하게 지내왔던 자신의 생각과 교육활동들을 되새겨볼 수는 없는 것일까. 더불어 그런 권고사항이 나오기까지 우리 사회의 변화되고 있는 흐름들을 헤아리면 어떨까. 열심히 노력해온 교사들이 기울인 정성이 다른 한편에서는 바람직한 일이 아니었다는 것을 배반감으로 느낄 것이 아니라 스스로 각성하고 성찰하는 계기로 마주섰으면 좋겠다. 매일매일 깨지며 오히려 우리는 결국 아이들과 더불어 함께 성장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희망을 가슴에 새기며! 배성호/서울 당산초등학교 교사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