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봉자/전 괴테대 한국학 교수
왜냐면 |
‘중국의 속국됨’ 개탄 매도해서야 |
재반론-김인택 부영사의 ‘한국학강좌 유지노력 매도해서야’를 읽고
주 프랑크푸르트 총영사관은 2003년 봄부터 한국학 강좌를 추진해 왔다. 이런 시도가 경상대에 있던 강의의 폐쇄 요인으로 작용한 건 다 알려진 사실이다. 또 대학 관련자 및 경상대 교수들이 강의 불가 판정을 내렸다는 것도 사실이 아니다.
지난 1월19일 김인택 부영사가 쓴 글에 대해 구체적으로 반박한다.
첫째, 김씨는 괴테대 경상대 한국학 강의 중단은 2004년 7월 말이고 동양학부가 강좌개설 의사를 밝힌 것은 8월30일로 동양학부에 강좌를 열기 위해 경제학부 강좌를 폐쇄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총영사관은 중문학과와 접촉하고 2003년 봄부터 한국학을 추진해 왔다. 총영사관의 이런 시도가 경상대에 개설되어 있던 한국학 강의의 폐쇄 요인으로 작용한 것은 다 알려진 사실이다. 괴테대 전 학생회장의 공개질의에 대해 김씨는 “총영사관은 오래 전부터 괴테대에 한국학 개설을 추진해 왔다”고 했다. 또 2003년 7월 “한국학 개설 때문에 괴테대 관계자를 만나고 있다”는 전 총영사의 언급에 대한 서면 확인도 있다. 어문대 학장의 “강의를 추진 중”이라는 편지, 교류재단에 제출돼 보관된 서류, “어문대에 강의가 개설됐으니 경상대가 이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크룸프 교수의 서면도 있다.
둘째, 김씨는 내가 경상대에서 강의가 불가능해지자, 동양학부에 강의를 신청하고 헤센주 장관, 괴테대 총장, 경상대 학장에게 나를 강사로 뽑도록 압력을 가해 달라고 총영사관에 요청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나는 강의 중단을 통보받고 경상대에 재검토를 요청했고, 위에 언급된 관련자들을 만나 강의를 유지하도록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고 난 뒤 영사관에도 협조요청을 했던 것이지 강사 추천을 언급한 바 없다. 이는 제출된 모든 서면들이 입증한다.
셋째, 김씨는 총영사관이 대학 관계자들을 모두 만나 경상대 강의를 유지하도록 요청했지만 지난 1년의 강의를 지켜본 대학 관련자 및 경상대 교수 모두 강의 불가 판정을 내렸고, 수강생들의 평도 좋지 않아 강의가 폐지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경상대의 한국학 강의는 서울대와의 자매결연을 활성화하기 위해 경상대 자체 재정지원으로 개설됐던 교양과목이기에 강의평가를 하지 않았다. 또 대학 관계자들은 강의평가와 무관하다. 이에 대해서는 2002~04년 경상대 전 학장 이서르만, 슈미트, 스파한, 오세 교수 및 쾨니히 현 학장 등 5명이 “대학 관계자 및 경상대 교수 모두 강의평가를 한 사실이 없고, 만약 평가를 했다고 해도 이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서 대학 관계자 및 경상대 교수 어느 누구도 이러한 언급을 한 일이 없다”고 서면으로 확인해준 것이다. 이서르만 교수는 수강생들을 인터뷰하여 경상대 강의에 대한 좋은 평가를 확인하고, 위의 교수들을 대표하여 주 독일 대사, 본 분관장, 총영사 앞으로 서한을 발송해서 김씨의 주장을 반박했다.
넷째, 김씨는 대학 당국이 강의를 형식상 중문학과에 설치한 것은 한시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이며, 한국이 중국의 속국으로 취급받지 않으며, 총영사관은 한국학 발전이라는 본연의 임무를 수행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괴테대 한국학 강의는 중문학과에 귀속되어 중국연구원이 관할하고 있다. 이는 한국이 중국의 속국으로 취급받는 치욕이다. 이는 ‘국민의 혈세를 내주며 속국을 구걸한 처사’로서 한국학 발전을 위한 임무수행이 아니라 매국행위다. 한국학 강의 독립을 위해 구성된 위원회는 괴테대 등에 3300명 서명자 이름으로 시정을 촉구하는 서면을 접수했다. 김씨는 “국가를 모독하는 강의는 있을 수 없다”며 중문학과 안의 한국학 강의를 독립시키라고 촉구하는 나를 허위사실로 매도했다. 나는 한국 정부에 이 사건에 대한 조처를 강력히 촉구하면서 아울러 김씨의 공개사과를 촉구한다.
정봉자/전 괴테대 한국학 교수
정봉자/전 괴테대 한국학 교수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