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8.15 18:58
수정 : 2019.08.16 11:12
|
중국 인민무장경찰 소속 장병들이 15일 홍콩에 인접한 중국 광둥성 선전의 축구장 안에서 훈련을 하고 있다. 선전/AFP 연합뉴스
|
강경파 앨런 라우 경무차장 복귀 1주일
체포조·사복침투조까지 등장
시위대 체포·부상 급증…의료인도 항의
인근 선전, 인민무장경찰 훈련장면 공개
경고수위 높인 미, “제2의 천안문 안돼”
|
중국 인민무장경찰 소속 장병들이 15일 홍콩에 인접한 중국 광둥성 선전의 축구장 안에서 훈련을 하고 있다. 선전/AFP 연합뉴스
|
홍콩 경찰의 반송중(중국 송환 반대) 시위대 진압방식이 강경파인 앨런 라우 전 경무차장 복귀 뒤 한층 공세적으로 바뀌고 있다. 홍콩 인근 선전에 집결한 중국 인민무장경찰의 훈련 동영상이 공개되면서, 무장개입 우려에 따른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 쪽에서도 이에 대한 경고의 목소리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지난 12~13일 홍콩 국제공항을 마비시킨 연좌시위는 11일 침사추이 지역에서 시위에 참가한 여성이 진압경찰이 쏜 빈백(비살상용 플라스틱탄) 탄환을 맞아 실명 위기에 놓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촉발됐다. 실제 주말 내내 이어진 시위에서 홍콩 경찰의 진압방식은 지난 6월9일 반송중 시위 개시부터 이전까지와는 전혀 달랐다.
<홍콩 프리 프레스> 등 현지 매체 보도를 15일 종합하면, 홍콩 경찰은 이전과 달리 지하철역 안으로 피신한 시위대를 쫓아가 곤봉을 휘두르며 체포를 시도했다. 주거지역에선 사용을 자제하던 최루탄을 사람들이 몰린 지하철역 내부에서 무차별 발사하기도 했다.
시위대 해산에 집중하던 진압작전의 목표도 ‘체포 위주’로 바뀐 모습이다. 간단한 진압 장비만 갖춘 ‘체포조’가 등장했고, 검은 티셔츠와 공사용 안전모 차림으로 시위 참가자처럼 꾸민 ‘사복경찰’을 시위대에 침투시켜 기습 체포에 나서기도 했다. 홍콩 경찰 쪽도 12일 기자회견에서 시위 진압 과정에 ‘체포조’와 ‘사복경찰’을 투입했음을 확인했다.
진압방식이 바뀌면서 체포자 수도 급증했다. 홍콩 경찰이 지난 5일 기자회견에서 밝힌 6월9일 이후 두달 동안 누적 체포자는 420명이었다. 반면 9~11일 사흘 동안에만 ‘핵심 폭도’ 15명을 포함해 모두 149명이 무더기로 체포됐다. 부상자도 급증해 12일엔 홍콩 시내 주요 병원 의료진이 점심시간을 이용해 경찰의 강경 진압에 항의하는 연좌시위를 벌였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홍콩 경찰이 공세 수위를 높인 배경에 지난해 11월 정년으로 물러났다가 지난 9일 업무에 복귀한 앨런 라우 경무차장이 있다”고 지적했다. 6개월 시한으로 ‘특수임무’를 띠고 복귀한 라우 차장은 2014년 여름 정치개혁을 요구하며 79일 동안 이어진 우산혁명과 2016년 춘절 기간 노점상 단속으로 촉발된 몽콕 시위 사태를 강경 진압한 책임자다.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는 “라우 차장의 임무에는 10월 중국 건국 70주년 행사 준비도 포함돼 있다”고 전해, 홍콩 당국이 10월 이전에 반송중 시위 진압을 마치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지난 주말 홍콩에 인접한 중국 선전의 축구장에 집결한 인민무장경찰의 훈련 모습이 동영상으로 공개됐다. <아에프페>(AFP) 통신은 14일 장갑차와 군용 트럭이 도열한 축구장 안에서 전투복 차림의 무장경찰들이 함성을 지르며 내달리는 장면을 담은 영상을 공개했다. 축구장 주변에도 장갑차와 군용 트럭이 즐비해 분위기가 삼엄했다.
미국은 ‘경고’의 수위를 높였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14일(현지시각) <미국의 소리> 방송과 한 인터뷰에서 “미국은 1989년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대가 탄압당한 천안문(톈안먼) 광장을 기억하고 있다”며 중국의 아킬레스건을 건드렸다. 그는 이어 “중국에 투자하는 외국 자본 60%가 홍콩을 통해 들어가는 건 홍콩의 법제도와 법원에 대한 믿음 때문”이라며 “홍콩에서 천안문과 같은 기억을 다시 만든다면, 중국 경제에도 엄청난 타격을 입히는 큰 실수가 될 것”이라고 압박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무역협상과 홍콩 사태 해결을 연계하려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 “중국은 무역협상을 타결 짓고 싶어 한다. 먼저 홍콩을 인도적으로 다루도록 하자”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시진핑 주석이 홍콩 문제를 신속하게, 인간적으로 해결하길 원한다는 데 의심이 전혀 없다”며 이를 위한 정상회담 가능성도 내비쳤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