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8.08 17:51 수정 : 2019.08.08 20:10

몽골을 방문한 마크 에스퍼 미국 국방장관(오른쪽)에게 8일 몽골 정부가 우호의 상징인 말을 선물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에스퍼 미 국방, 몽골 1박2일 방문
전략적 위치…중-러 견제용?

최근 ‘전략적 동반자’로 양국 관계 격상

볼턴 보좌관-데이비슨 사령관 등 방문 줄이어
두달 연속 합동군사훈련…“군사분야 협력 강화”

몽골을 방문한 마크 에스퍼 미국 국방장관(오른쪽)에게 8일 몽골 정부가 우호의 상징인 말을 선물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국방정책 뼈대인 ‘인도·태평양 전략’의 거점으로 몽골이 떠오르고 있다. 최근 ‘전략적 동반자’로 양국 관계가 격상된데다, 미 고위급 인사의 방문도 줄을 잇고 있다. 남으로는 중국, 북으로는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몽골의 지리적 위치 때문에 중·러 견제용 행보란 지적이 나온다.

8일 한국에 도착한 마크 에스퍼 미 국방부 장관의 직전 방문지는 몽골이었다. 미 국방장관의 몽골 방문 자체가 드문 일인데다, 에스퍼 장관 취임 뒤 첫 외국 순방국 가운데 몽골이 포함됐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 만하다.

앞서 현직으로 몽골을 방문한 미 국방장관은 2014년 4월10일 울란바토르를 찾은 척 헤이글이었다. 그는 ‘미국-몽골 안보관계 공동성명’ 서명식 참석을 포함해 단 4시간을 머물렀다. 반면 에스퍼 장관은 1박2일 일정으로 7일 몽골에 도착해, 8일 할트마 바툴가 대통령을 비롯한 몽골 정부 고위인사들과 잇따라 만났다.

지난 3일 오스트레일리아를 시작으로 뉴질랜드·일본 등 5개국을 도는 에스퍼 장관의 이번 순방 주제는 ‘인도·태평양’이다. 에스퍼 장관은 “동맹을 강화하고, 협력관계를 확대하는 것이 이번 순방 목적”이라고 밝힌 바 있다. 미 국방부는 지난 6월1일 펴낸 ‘인도·태평양 전략 보고서’에서 오스트레일리아·일본·한국은 동맹국으로, 뉴질랜드와 몽골은 협력국으로 규정했다.

특히 보고서는 “미국과 몽골은 모든 국가가 외부의 강압으로부터 주권과 자유를 지킬 수 있는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에 대한 비전을 공유한다”고 지적했다.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각국의 주권과 자유를 위협하는 ‘외부의 강압’으로 미국은 중국을 지목한다.

지난 6월30일 판문점 남·북·미 3자 정상회동 때 존 볼턴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부재’가 화제가 된 바 있다. 당시 볼턴 보좌관은 몽골을 방문한 것으로 드러났는데, 양국 정상회담의 사전 조율을 위해서였던 것으로 보인다. 바툴가 대통령은 7월 말 워싱턴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로 격상시키는 공동선언에 합의했다. 공동선언엔 군사·경제분야 협력 등 ‘인도·태평양 전략 보고서’ 내용이 고스란히 담겼다.

중·러 양대 강국 사이에 낀 몽골은 일찌감치 ‘제3의 이웃’을 외교·안보정책의 기조로 내세웠다. 국경을 맞대지는 않았지만, 미국을 ‘이웃’으로 삼아 중·러의 영향력과 균형을 맞추려는 몽골판 ‘등거리 외교’였다. 1987년 수교 이후 양국 간 군사분야 협력이 도드라진 것도 이 때문이다. 이라크·아프간전에 모두 파병한 몽골은 지금도 아프간에 233명의 병력을 주둔시키고 있다.

양국 간 군사교류는 최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지난 6월14일 울란바토르에서 열린 유엔 평화유지활동 관련 훈련인 ‘제17차 칸퀘스트’(6월14~28일) 개막식엔 필 데이비슨 미 인도·태평양 사령관이 직접 참석했다. 이 훈련엔 미군 220명과 몽골군 900명을 주축으로, 한국을 포함한 30여개국에서 750명이 참가했다. 7월22~26일엔 미 인도·태평양 사령부의 역내 재난대비·인도지원 훈련인 ‘퍼시픽 에인절 19-3’이 몽골에서 실시돼, 항공기 이착륙과 긴급 의료지원 훈련 등에 양국 공군이 참여했다. 에스퍼 장관도 지난 6일 기자들과 만나 몽골 방문 목적에 대해 “군사분야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히는 한편, 양국 협의의 틀을 실무급에서 장관급으로 격상시킬 뜻을 내비쳤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