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4.22 13:11 수정 : 2019.04.22 20:50

지난해 11월 미국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왼쪽)과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이 이란산 원유 거래 차단 등 이란에 대한 전면적 경제 제재를 발효한다고 발표하고 있다. 워싱턴/EPA 연합뉴스

<워싱턴 포스트> “미 정부, 예외조처 연장 않기로”
폼페이오 국무장관, 22일 밤(한국시각) 발표 예정
5월2일까지 한시적 예외 받은 한국·중국 등 8개국 해당
이란산 콘덴세이트 의존해온 국내 석유화학업계 타격 예상

지난해 11월 미국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왼쪽)과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이 이란산 원유 거래 차단 등 이란에 대한 전면적 경제 제재를 발효한다고 발표하고 있다. 워싱턴/EPA 연합뉴스
미국이 다음달 2일(미국시각) 종료되는 한국 등 8개국에 대한 이란산 원유수입의 한시적 예외조처를 연장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의 석유 수출을 제로(0)로 틀어막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 정책에 따른 것이다. 이란산 콘덴세이트(초경질유)에 의존해온 한국 석유화학 업계가 타격을 입게 됐다.

<워싱턴 포스트>의 칼럼니스트인 조시 로긴은 21일 ‘더 이상의 면제는 없다: 미국은 이란산 석유 수출을 제로(0)로 만들려 할 것’이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이같은 내용을 전했다. 로긴은 2명의 국무부 당국자를 인용해 “미국이 이란 핵합의(포괄적 공동행동계획·JCPOA) 탈퇴를 결정한 지 약 1년 만에 국무부는 모든 나라가 이란산 석유의 수입을 완전하게 끝내야 하며, 안 그러면 미국의 제재를 받게될 것이라고 발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22일 오전 8시45분(한국시각 22일 밤 9시45분) 국무부 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연다. 이같은 조처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전세계에 걸친 이란의 불법적 행위를 끝내기 위한 ‘최대한의 압박’을 강화 차원이라고 로긴은 전했다.

한국의 전체 원유수입에서 이란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0%로, 5월3일부터 이란산 원유수입이 금지되면 전체 수급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란산 콘덴세이트를 원료로 나프타를 생산해온 석유화학 업계에 직접적 타격이 예상된다.

앞서 미국은 지난해 이란 핵합의 탈퇴 뒤 8월7일부터 대이란 제재를 복원했고, 11월5일 이란산 원유수입 금지 조처를 발표하면서 한국과 중국, 인도, 이탈리아, 그리스, 일본, 대만, 터키 등 8개국에 대해서는 6개월간의 한시적 예외를 인정했다. 이 가운데 그리스, 이탈리아, 대만은 이미 이란산 원유수입을 0으로 줄였다.

한국 정부 당국자들은 지난달 말과 이달 초 워싱턴을 방문해 미 정부에 이란산 원유수입 제재에 유연성을 발휘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브라이언 훅 국무부 이란특별대표는 이달 초 기자들에게, 지난해 예외 조처는 유가 우려를 고려한 것이지만 올해는 수요보다 공급이 많을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더이상의 예외 승인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