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3.31 17:25 수정 : 2019.03.31 21:14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29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뉴스분석 l 한미 정상회담 조율 분주

11일 회담 앞두고 강경화 방미 이어
김현종 2차장 1일 떠나 의제 논의
“북미 대화, 톱다운 방식 유지 중요”
‘스냅백’·개성공단 논의 여부 주목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29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11일 워싱턴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미의 조율 작업이 본격화하고 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9일(현지시각) 워싱턴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을 만나 ‘포스트 하노이’ 공조 방안을 논의한 데 이어, 30일 방미한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은 1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찰스 쿠퍼먼 부보좌관을 만나 한-미 정상회담 의제를 조율할 예정이다. 난항에 빠진 북-미 대화를 건져올리기 위한 숨가쁜 4월이 시작됐다.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 합의 무산 뒤 40여일 만에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의 첫번째 관전 포인트는 의제, 즉 북-미 대화 재개를 위해 어떤 방안을 마련할 것인지다. 정부는 ‘포괄적 합의, 단계적 이행’이라는 큰 틀을 지향하고 있다. 북-미가 △비핵화의 개념 △최종 단계의 모습 △그에 이르는 로드맵에 관해 합의한 뒤 이행은 상응 조처와 함께 단계적으로 해나가는 그림이다.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이 30일 워싱턴 인근 덜레스공항에서 기자들한테 질문을 받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북한이 이 구상에 동참하도록 설득하기 위한 방안으로 우선 거론되는 게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29일 워싱턴에서 기자들에게 “남북 간 합의를 지속적으로 이행해 나가야 할 우리의 의지나 필요에 대해 미국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강 장관과 폼페이오 장관의 회담에서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문제를 “포괄적으로 논의했다”면서도 “구체적 사안까지 말하지는 않겠다”고 했다.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도 올 초 신년사에서 “조건 없는 재개”를 언급하며 관심을 보인 사안인 만큼, 북한이 비핵화 조처에 나서도록 유도하는 데 주요한 카드로 꼽힌다.

‘스냅백’, 즉 제재 완화를 해주되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이행하지 않으면 제재를 복원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거론된다.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하노이에서 긍정적 입장을 보였다”며 스냅백을 언급한 것은 북한도 이에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김현종 차장은 30일 스냅백 문제를 이번에 미국과 협의할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것에 대해서는 노코멘트”라고 말했다.

정부는 북-미 대화가 현재까지와 마찬가지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톱다운’(위에서 아래로) 방식을 유지해 나가야 한다는 점에도 큰 무게를 싣고 있다. 미국 행정부 내 강경파의 득세로 북-미 대화가 출렁이는 위험성을 최소화하고 대화의 모멘텀을 지속시켜야 한다는 의도에서다. 김 차장은 “톱다운 방식을 했기 때문에 여기까지 결과가 나지 않았나”라며 “톱다운 방식으로 계속 궤도 내에서 대화가 유지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속적으로 우호적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그는 최근 트위터로 ‘대북 추가 제재 철회’를 지시한 이유에 대해 29일 “나와 김 위원장은 서로를 이해한다. 할 수 있는 한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북한은 매우 고통받고 있다. 현시점에서 추가 제재는 필요하지 않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기 전에 김 위원장의 상황 평가와 대미 메시지를 확인할지도 관전 포인트다. 김 차장은 ‘한-미 정상회담 전에 대북 특사를 보낼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시퀀싱(순서)을 말하는 건데, 동맹국인 미국과 먼저 조율해서 만나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라고 본다”고 말했다. 현재로서는 ‘한-미 조율 후 남북 대화’의 순서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그러나 11일 이전에 남북 사이에 고위급 접촉이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