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0.14 18:57 수정 : 2005.10.15 02:08

새 생명 안고 ‘한 표’ 이라크 헌법안 국민투표를 이틀 앞둔 14일 나자프의 한 병원에서 아이를 갓 나은 한 여성이 교도소와 병원의 사전투표 허용에 따라 투표를 하고 있다. 자나프/AP 연합

‘저항’­-‘소탕’ 총성 속에 치안불안 계속 자폭공격 대비 투표소마다 바리케이드 수니파 일부 “헌법안 찬성”…내분 격화


이라크의 설계도를 담고 있는 헌법안에 대한 찬반 국민투표가 15일 치러진다. 2003년 3월 미국의 침공 이후 2년7개월 만이다.

그러나, 미군 점령 아래 치러지는 이번 투표를 겨냥한 수니파 저항세력의 공격이 험해 투표가 순조롭게 이뤄질지는 장담할 수 없다. 특히 헌법안 찬반 여부를 놓고 갈라진 수니파 저항세력의 내분이 또다른 위협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부 수니파 저항세력은 14일 헌법안 찬성으로 돌아선 수니파 최대 정당인 이라크이슬람당의 사무실을 불태웠다.

이라크 헌법 국민투표

미군과 이라크군은 자살폭탄 공격을 막기 위해 검문소를 늘리고, 전국 6200여곳의 투표소 주변에 콘트리트와 철조망 바리케이드를 설치하는 등 경계를 강화했다. 나흘 동안 공휴일이 선포된데다 야간 통행금지와 휴교령까지 내려져 바그다드 거리엔 인적이 끊겼다. 미군과 이라크군은 수니파 거주지인 서부 안바르주에서 ‘저항세력 소탕작전’을 투표일에도 멈추지 않을 예정이다. 치안 불안 등으로 바그다드에서조차 헌법안이 제대로 배포되지 못했다.

연방제 도입 핵심 내용=헌법안의 핵심 내용은 연방제 도입이다. 헌법안이 통과되면 각 지방정부가 치안 유지나 유전 관할 등 실권을 갖게 되고, 중앙정부의 권한은 외교·국방·재무 등으로 축소된다. 남부의 거대한 루말리야 유전지대를 낀 시아파의 ‘작은 나라’가 등장하게 된다. 그동안 북부에서 자치를 누려온 쿠르드족도 유전지대 키르쿠크를 자치지역에 포함시키기 위해 밀어붙이고 있다.

시아파와 쿠르드족의 입김이 강하게 반영된 헌법안을 놓고 종파 간 찬반이 뚜렷하게 엇갈리고 있다. 시아파 지역에는 곳곳에 “찬성” 벽보가 나붙었지만, 수니파 지역에선 국민투표 포스터를 찾아보기도 어렵다. 그러나 시아파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 시스타니는 13일 “투표장에 가서 찬성표를 던지라”며 지지자들을 독려했다.

수니파 “반대표 결집”=수니파 내부에선 분열이 심해지고 있다. 수니파의 지지를 얻어내라는 미국의 압력을 받은 시아파와 쿠르드족은 11일 막판 협상에서 수니파의 일부 요구를 받아들여 헌법안을 수정했다. 이 협상에 참여했던 수니파의 이라크이슬람당은 헌법안 찬성으로 돌아섰다. 수정안은 헌법 통과 뒤 6개월 안에 헌법안을 재협상해 국민투표를 다시 하도록 했다. 그러나 수니파 최대 단체인 무슬림학자연합은 13일 “헌법안은 이라크를 분열시키고 정체성을 파괴할 것이기 때문에 부결시켜야 한다”며 “이라크이슬람당의 변절”을 비난했다.


이라크 18개주 가운데 수니파는 중서부 4개주에서 다수를 점하고 있다. 3개주 이상에서 투표자의 3분의 2가 반대하면 부결된다는 조항에 따라 수니파 지도부는 반대표 결집에 힘을 모으고 있다. 사담 후세인 전 대통령의 고향인 티크리트에선 수니파 지도자들이 “외국인의 손으로 작성된 헌법압은 박살내라”고 촉구했다.

외국군 철수론 떠오를 듯=헌법안이 통과되고 이를 기초로 오는 12월 총선을 거쳐 정부가 수립되면 이라크는 ‘형식적’으로는 완전한 주권국가가 되고, 이라크 정부가 국방·치안 임무를 넘겨받게 된다. 이렇게 되면 14만명(선거기간 중 15만6천명으로 증원)의 미군을 비롯해 이라크 주둔 외국군의 철수 문제가 본격적으로 거론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파병국들의 철군이 잇따르는 가운데 국내에서 철군 압박을 받고 있는 미국이나 영국도 내년 초 어느 정도의 병력 감축에 나설 수밖에 없다. 한국 자이툰부대의 철군 일정 논의도 시작될 수 있다.

헌법안이 부결된다면 제헌의회 총선 등 지난 1년 동안의 모든 일정이 원점으로 돌아간다. 최악의 시나리오인 내전 가능성도 높아진다. 통과된다 해도 막바지 협상에서 헌법안을 다시 개정하기로 해 정치 불안이 연장될 가능성이 많다. 끝까지 반대한 대다수 수니파들의 저항도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