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12.08 15:45 수정 : 2016.12.08 21:45

지난해 이맘때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올렸다. 10년 만에 처음이었다. 그리고 1년이 지난 지금 또다시 금리 인상이 예정돼 있다.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선진국은 쓸 수 있는 모든 정책을 쏟아냈다. 미국은 위기가 발생하고 1년 만에 기준금리를 4.25%에서 0.25%로 내렸다. 1930년 대공황 때보다 빠르고 강한 대응이었다. 위기가 발생하고 8년이 지나서야 기준금리가 1%가 됐다. 기준금리 인하로 시장금리도 하락했다. 위기 발생 초기에 4.2%였던 미국의 국채 수익률이 최저 1.3%까지 내려왔는데, 대공황 때 4.5%에서 2.1%까지 떨어진 것보다 하락폭이 크다.

재정도 예외가 아니었다. 2009년에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이 -9%를 기록했다. 금융위기에 따른 부실을 메우고, 경제가 더 나빠지는 걸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경기 부양에 적극적으로 나선 결과였다. 1980년대 해당 지표가 -3%를 기록했을 때 ‘미국이 2등 국가로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던 것과 비교된다.

유동성 공급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2010년에 본원통화 증가율이 80%에 달했는데 1960년 이후 평균 증가율이 5%였던 걸 고려하면 대단히 높은 수치다.

이렇게 강한 정책을 폈음에도 불구하고 성장률을 위기 이전 수준으로 돌려놓는 데 실패했다. 금융위기 이전 5%대를 기록했던 세계 경제성장률이 3%대로 낮아졌다. 국내 성장률도 3%대에서 2%대로 후퇴했다. 정책을 시작할 때 목표로 세웠던 부분이 달성되지 않은 것이다. 오히려 빈부 격차 확대로 경제의 불안정성이 높아졌고, 교역 증가율이 둔화해 신흥국이 곤란을 겪는 상황이 벌어졌다.

목표 달성에 실패함에 따라 정책 변경이 불가피해졌다. 금융위기 이전 수준으로 성장률을 끌어올리기 힘들다고 판단이 선 이상 무리하게 정책을 계속하기보다, 현실을 인정하고 정책 수위를 낮추는 쪽으로 선회하게 된 것이다. 12월 금리 인상이 변화의 시작점이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정책이 바뀌면 주식시장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지난 수년간 종합주가지수가 박스권 내에 머물렀던 건 주가 상승을 가로막는 요인과 하락을 저지하는 요인이 균형을 이뤘기 때문이다. 경제가 좋지 않은 게 박스권 돌파를 가로막는 요인이었다면, 낮은 금리와 풍부한 유동성은 하락을 막는 요인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정책 변경은 박스권 하단을 약화하는 구실을 할 것이다.

12월에 미국이 금리를 올릴 확률이 100%를 나타내고 있다. 기정사실이 된 금리인상은 시장에서 역할을 하지 못한다. 중요한 건 이번보다 내년에 연준이 금리 정책을 어떻게 가져갈 것이냐는 점이다. 회의 결과 내년에 금리 인상을 적극적으로 할 것으로 판단될 경우 시장이 요동을 칠 수 있다.

이종우 아이비케이(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