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8.28 16:46
수정 : 2019.08.28 19:32
|
서울 송파·강남구 아파트 단지. 청와대사진기자단
|
“매매 수요 위축, 전세 공급 증가
재건축·고가 물량이 상승 이끌어
상한제·새도시 계획 긍정적 효과”
|
서울 송파·강남구 아파트 단지. 청와대사진기자단
|
한국감정원이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정책과 공급 증가 등에 힘입어 올해 주택시장은 하향 안정화를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노후·고가 아파트가 올해 서울 집값 상승을 이끌었다며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와 3기 새도시 정책이 시장 안정에 긍정적인 효과를 낼 것으로 예측했다.
감정원은 28일 발표한 ‘2019년 상반기 부동산시장 동향 및 하반기 전망’에서 올해 주택 매매가는 1.4%(수도권 -1.2%, 지방 -1.9%), 전세가는 2.6%(수도권 -2.5%, 지방 -2.6%) 하락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7월까지 매매가 상승률은 -1.4%, 전세가는 -1.58%였는데 이보다 더 떨어진다는 것이다. 감정원은 “정부의 대출규제로 주택 구입부담이 증가하고 시장 상황으로 인한 대기수요가 증가하면서 매수수요 위축으로 안정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 “매매 대기수요의 증가로 전세 수요가 증가하나 전반적인 입주 물량 증가로 임대시장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부활이 임박하면서 서울 전세와 신축을 중심으로 매매가가 오를 거라는 우려와는 다른 전망이다. 주택시장 안정세가 유지되는 이유로 감정원은 △9·13 대책의 위력이 유효하고 △공급이 유지되고 있는 반면 △주택 거래량이 받쳐주지 못하고 있는 점 등을 들었다. 이준용 감정원 부동산연구원 시장분석연구부장은 “9·13 대책은 투자수요의 유입을 가로막는 강력한 규제이기 때문에 시중 유동성이나 금리 인하가 시장에 미칠 가능성은 상당히 제한적”이라며 “수도권 전체적으로 보면 경기도에서 공급되는 입주 물량이 많기 때문에 안정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3기 새도시가 강남의 고가 아파트를 대체할 순 없지만 주택 수요를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서울 집값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봤다.
최근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가 임박하며 집을 사려던 사람들이 전세로 돌아서 전셋값이 뛰고 있다는 주장은 “무리한 논리”라고 일축했다. 김성식 감정원 부동산연구원장은 “최근 2~3년간 서울 전셋값 폭등은 재건축으로 인한 멸실가구 때문이었다”며 “그러나 지금은 그때 멸실됐던 물량의 2~3배가 공급되고 있어 전세시장 자체적으로 안정되고 있다”고 말했다.
감정원은 지난해 9·13 대책으로 하락 안정세가 유지됐던 서울 아파트값이 올해 4월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을 중심으로 들썩인 이유가 노후 재건축과 고가 아파트(3.3㎡당 5천만원 이상) 매매에 따른 것이라는 사실도 확인했다. 실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노후·고가 아파트가 비싼 가격으로 계속 거래되면서 최근의 전반적인 가격 상승세를 이끌었다는 것이다. 감정원은 분양가 상한제로 신축 아파트 값이 뛰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서울 집값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준용 부장은 “과거 분양가 상한제 시기에는 분양을 전후해 주변 시세가 완만하게 상승했다”며 “분양가 상한제에 따른 풍선효과(신축 아파트 가격 상승)가 부동산 시장에 끼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