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3.10 18:07 수정 : 2019.03.10 20:33

르노삼성 부산공장 전경. 르노삼성자동차 제공

‘2018 임·단협’ 결렬·부분파업 이어져
노조 “이익 배분·노동강도 완화해야”
사쪽 “과도한 요구로 물량 확보 힘들어”

르노삼성 부산공장 전경. 르노삼성자동차 제공
임·단협을 둘러싼 르노삼성자동차 노사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생산 차질과 함께 경쟁력 약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내 완성차 업계에서 비교적 모범적인 노사관계로 꼽혔던 르노삼성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르노삼성차는 10일 “미래 수출 물량 배정을 위한 타결 기한이었던 지난 8일 늦은 밤까지 진행했던 2018년 임금 및 단체협약 본교섭이 노사 간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결렬되었다”고 밝혔다. 이날 르노 본사가 제시한 노사 협상 시한을 앞두고 타결 기대감이 감돌았으나 노사는 끝내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국내 완성차 업체 가운데 지난해 임·단협을 마무리 짓지 못한 곳은 르노삼성이 유일하다. 사쪽은 교섭 결렬 직후 “부산공장의 지속가능성은 큰 위협 상황에 놓일 것”이라며, 노조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앞서 로스 모저스 르노그룹 부회장은 “파업이 계속되면 (부산공장에서 생산해온 닛산 로그의) 후속 물량 논의가 어렵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노조는 “생산 물량을 걸고 넘어지는 전형적인 언론플레이성 압박”이라며 “전면 파업도 불사하겠다”는 태도다.

노조는 지난해 10월부터 부분 파업을 이어오고 있다. 르노삼성의 역대 최장기간 파업이다. 르노삼성 노사 갈등은 임금 수준 산정과 노동 강도 등을 둘러싼 견해 차이에서 시작해 점차 감정 싸움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2011년 적자를 냈던 르노삼성은 2012년 구조조정 등을 통해 2013년부터 흑자 기조를 이어오고 있다. 2017년에는 4천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노조는 최근 몇년간 회사가 실적 개선으로 얻은 수익의 일부를 노동자들에게 돌려주고 생산라인 직원들이 감내해온 노동 강도도 대폭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노조는 기본급 10만667원 인상과 특별격려금(300만원) 지급, 적정인력 정규직 채용 등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사쪽은 고정비 상승을 부르는 기본급 인상을 거부하는 대신 격려금 등 보상금 명목으로 1700만원을 지급하는 수정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노조는 이 가운데 생산성 격려금(PI)과 이익배분금(PS)은 회사에서 이미 지급하기로 한 금액이므로 임·단협 보상금으로 논의할 성격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회사 쪽은 또 전환 배치 등 현재 ‘협의 사항’으로 돼 있는 인사 경영권을 노사 합의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오는 9월 르노 본사의 신차 배정을 앞둔 시기에 노조가 장기 파업을 벌이는 것에 대해선 시선이 곱지 않다. 일부에선 다른 공장에 비해 과도한 임금 인상 요구를 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노조를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임금 수준의 단순 비교는 난센스라는 지적이 많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각국 사업장별로 근로시간과 생산성(단위시간당 생산대수)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했다. 전세계 사업장 중에서 르노삼성의 경쟁력은 나쁘지 않은 편이다. 주요국 자동차 업체의 생산성 비교 보고서인 ‘하버 리포트’ 평가에서 2016년 르노삼성 부산공장은 세계 148개 공장 가운데 종합 8위에 올랐다.

2015~2017년 3년째 이어진 르노삼성 노사의 무파업 행진이 깨지고 부분 파업이 이어지면서 기업 이미지 실추와 함께 협력업체의 절반 이상이 몰린 부산·경남 지역 경제도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지역 경제계와 시민사회는 노사 양쪽의 전향적인 결단을 통한 조속한 타결을 촉구하고 있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