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쿠츠크에서 바이칼로 가는 도정의 시베리아 평원의 자작나무 숲.
|
[매거진 esc] 커버스토리 / 시베리아 횡단철도 체험기
사흘 밤낮을 한 방향으로 달리는 열차, 서울~부산도 한나절이면 도착하는 땅에 사는 우리에게는 짐작하기 힘든 질주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바이칼호까지 이어지는 유형자의 땅, 눈과 얼음과 자작나무숲이 초대하는 겨울의 시베리아를 다녀왔다.
“기차로 하루 종일 달렸는데도 산 하나 보이지 않더라.” 일제시대 때 학교를 다닌 외할아버지가 그 시절 만주로 수학여행 다녀온 얘기를 할 때 그러셨다. 어릴 적부터 뇌리에 박혀 있었다. 기차든 자동차든 몇 시간만 달리면 종착지에 가 닿는 땅, 게다가 북쪽 절반이 막혀 섬 같은 땅에서 나고 자란 내가 상상하기도 어려운 그 광대무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이르쿠츠크의 바이칼 호수까지 가는 4300여㎞의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사흘 밤낮 내리 달려가면서 비로소 그걸 체감했다. 지난 8~15일의 한겨레 테마여행 ‘겨울의 심장, 바이칼을 가다’. 그 여행은 바로 그 체험만으로도 경이였다.
겨울 시베리아. 미국 뉴욕에서 알래스카 앵커리지로 가는 비행기 창으로 눈 덮인 광대한 북미 대륙을 내려다봤고, 인천에서 영국 런던 가는 비행기에서도 얼어붙은 시베리아의 광막한 대지를 오랫동안 내려다본 적 있다. 하지만 고공에서 내려다보는 그 몇 시간의 원거리 조망과 사흘 밤낮 객차 철제문 손잡이가 손에 쩍쩍 들러붙는 섭씨 영하 20~40도의 혹한 속 대평원 풍경을 지근거리에서 보며 달리는 설국열차 체험은 차원이 달랐다. 저녁 7시 넘어 블라디보스토크를 떠나 북행하던 기차가 날을 넘겨 하바롭스크를 지나 서북행으로 방향을 바꾼 이틀째, 1921년 ‘자유시 참변’으로 1000명 가까운 조선독립군들이 희생당한 스보보드니를 지나 더 북쪽으로 달려갈 무렵일 텐데, 그때 바깥 온도는 섭씨 영하 41도라고 했다. 짧게는 몇분, 길게는 30분
정차하는 역들마다 차장들은
쇠막대기와 도끼를 들고 내려
기차 바퀴 주변에 잔뜩 달라붙은
얼음들을 탕탕 두들겨 떨어냈다
그야말로 광대무변. 우랄산맥 동쪽의 시베리아지역 면적은 약 1278만㎢. 거기에 사는 인구는 2941만 정도로 인구밀도는 1㎢당 2.3명. 극동연방관구는 약 617만㎢에 인구 646만명으로 밀도는 1.0명. 게다가 그 인구도 대부분 도시지역에 몰려 있다. 그러니까 시베리아 대부분은 사실상 텅텅 비어 있다. 나라를 찾겠다던 선조들은 왜 그 낯설고 먼 추운 땅까지 흘러가 피를 흘려야 했을까. 자작나무 숲은 정말 가도 가도 끝이 없었다. 그리고 처음부터 끝까지 그야말로 설국이었다. 야트막한 산들이 함께 달렸지만 그건 구릉에 가까웠다. 그런 구릉조차 없이 탁 트인 대지들이 아득히 멀리 지평선까지 눈을 덮어쓴 채 수시로 나타났다. 한반도를 찾는 철새들이 겨울에 시베리아를 떠나는 것은 추워서가 아니라 땅을 덮고 있는 저 눈과 얼음 때문이리라. 강과 들판과 호소들이 모두 하얗게 얼어붙은 대지에선 먹이 찾기가 쉽지 않겠지. 시속 80㎞ 또는 그 이상의 속도로 달리는 전철화된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4인이 함께 들어가는 침대칸 ‘쿠페’. 그 창가에 반쯤 드러누워 올려다본 시베리아 새벽 하늘의 그 총총했던 별들.
시베리아 횡단 기차.
|
일어서서 얼어붙어버린 바이칼 호수 호보이 곶 앞 얼음 조각들.
|
인천공항에서 비행기로 블라디보스토크로 가서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탄다. 기차로 이르쿠츠크까지 가서 바이칼 올혼 섬까지는 여름엔 정기노선 버스가 있고, 겨울엔 정기 노선버스가 선착장까지만 가며 올혼 섬까지는 현지 차를 빌려서 가야 한다. 인천~블라디보스토크 간은 거의 매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운항한다. 여름엔 인천공항에서 이르쿠츠크로 가는 직항기가 있다. 시베리아-바이칼 전문 여행사로 비케이(BK)투어가 있다. 문의 (02)703-1373.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