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마루에 앉은 이병기, 학분씨 부부.
|
[길에서 만난 사람] 평창 청각장애인 부부
‘Z’자형 길 중간에 있어 급회전 차들 수시로 쿵쿵
그래도 손때 묻고 정 쌓인 집 못 떠나고 오순도순
강원 평창군 진부면과 정선군 북평면을 잇는 59번 국도변. 진부면 마평리 오대천 물줄기의 벼랑 위에 청심대라는 작은 정자가 있다. 강릉부사와 기생 청심의 애달픈 사랑 이야기가 전한다.
59번 국도는 이 청심대 앞에서 마평1리 들머리 삼거리까지 'Z'자 모양의 매우 급한 굽잇길을 이룬다. 이 굽잇길 중간에, 길에 바짝 붙은 낡은 농가가 한 채 있다. 소박한 세 칸짜리 흙벽집이다. 지붕 밑에는 '오래된 유머'처럼 썰렁한 붉은 글씨의 쇠판때기가 달려 있다. '멸공방첩'.
삼거리 쪽에 차를 세워 두고 이 소박한 농가 사진을 찍고 있을 때 부엌에서 할머니가 나오셨다. 인사를 하자 할머니는 말씀 대신 웃으며 자신의 귀를 가리킨다. 그리고 두 손으로 가위표를 그려 보였다.
할머니도, 뒤이어 방문을 열고 나오신 할아버지도 청각장애인이었다. 트럭이 지나가며 일으키는 바람에 무너져 내릴 듯 위태로워 보이는 이 흙벽집에 두 어르신 청각장애인 부부가 40여년째 살고 있었다.
사진 찍는 모습을 지켜보며 경계를 늦추지 않던 두 분은 이웃집 이혜송(51)씨가 다가와 '통역'을 자처하고 나선 뒤에야 안도하며 마음을 열었다. 이 집에서 낳고 키운 두 자녀를 결혼시키고 취직시켜 객지로 보내고, 금실 좋게 사는 이병기(70)·김학분(64)씨 부부다.
방 두 칸, 부엌 한 칸, 헛간과 재래식 변소, 깻잎 모종을 키우는 작은 비닐집 하나를 갖춘 집에서 큰 흰둥이, 작은 검둥이 두 마리 개와 함께 살고 있다. 바람 거세면 지붕 날아갈까 걱정, 비 오면 산에서 흙더미 쏟아질까 걱정하면서도 "법 없이도 살 만한" 두 어르신은 무쇠솥 걸린 부뚜막 아궁이에 장작불을 때며 환하게 사신다.
차량이 질주하는 이씨 집 앞 도로.
|
손짓으로 오가는 대화가, 집 앞의 위험한 도로 상황과 교통사고 이야기에 이르자 두 어르신의 손짓이 격렬해졌다. 이병기씨가 사진기 든 손을 잡아끌더니 부엌 기둥 쪽으로 데리고 갔다. 부엌과 헛간 기둥을 가리키면서 청심대 쪽에서 급회전해 달려온 차가 급정거하며 기둥을 들이받는 시늉을 해보였다. 다음엔 김학분씨가 따라 오라고 손짓하더니 집 반대편 벽 쪽으로 데려갔다. 이번엔 삼거리 굽잇길에서 급회전해 들이닥친 차가 미처 핸들을 못 꺾고 집 벽을 들이받는 시늉을 해보였다. 이 낡고 빈약한 '수제 흙벽집'은 양쪽 굽잇길에서 질주해 온 차량들의 협공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돼 있었다. 두 분은 또 청심대 쪽과 삼거리 쪽을 가리키며 두 주먹을 무수히 마주 부딪쳐 보였다. 차량 충돌 사고가 잦다는 설명이다. 이혜송씨가 말했다. "여기는 아주 고질적인 교통사고 다발지역이에요. 이 삼거리에서만 올 들어서 벌써 네다섯번이나 사고가 났어요. 언제 차가 덮칠지 모르는 이런 집에서 누가 살고 싶겠어요." 다른 집으로 이사할 생각이 없냐는 물음에 두 어르신은 두 손으로 가위표를 만들어 보였다. 낡은 나무기둥과 마루를 매만지며 이씨는 고개를 흔들었다. 두 어르신의 얼굴엔 손때 묻고 정 쌓인 집을 결코 버릴 수 없다고 쓰여 있었다. 아이를 안고 나타난 이웃 김운영(42)씨가 말했다. "이 할아버지는 손재주가 아주 좋으세요. 차가 들이받아 집이 부서지면 다 혼자서 직접 고치고 갈아끼워요. 그래서 이 집이 아직도 번듯한 모습을 하고 있죠." 김씨는, 주민들이 창고나 정자, 침상 등나무로 무엇을 만들 때는 이병기씨에게 일을 맡긴다고 덧붙였다. 40여년을 한 자리에서 살아온 집주인답게 두 어르신은 집 앞에서 자주 일어나는 교통사고의 원인은 물론, 그 해결책까지도 알고 있었다. 이병기씨가 돌멩이를 집어 들고 땅바닥에 길을 그려 보이며 열심히 말씀하셨다. "이 앞의 감자밭이 문제다. 바닥이 낮았던 밭을 흙으로 메워 높이는 바람에, 굽잇길 양쪽에서 올라오고 내려오는 차량들이 서로를 볼 수가 없게 됐다." 김학분씨도 밭의 흙을 다시 파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흙을 파내면 양쪽에서 오는 차들이 훤히 보인다. 또 삼거리 길을 넓혀야 한다. 달려오던 버스나 트럭이 한번에 회전하기 어려워 사고가 자주 나는 거다."
길 건너 감자밭을 다시 파내 시야를 확보해야 사고가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하는 김학분(오른쪽)씨.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