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6.11.30 19:02
수정 : 2016.11.30 22:31
“내가 버스에서 일어나지 않는 까닭은…”
|
일러스트 오금택
|
미국 앨라배마주 터스키기에서 태어났다. 공교롭게도 ‘터스키기 매독 실험’으로 악명 높은 지역. 매독에 걸린 다음 치료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 궁금하다며 미국 정부가 흑인 수백명을 대상으로 40년이나 생체실험을 벌인 곳이다. 이 지역 흑인 인권이 이랬다.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시에는 이상한 관행이 있었다. 버스의 백인전용좌석. 앞좌석 넉 줄은 백인만 타도록 비워야 했다. 백인석이 비어도 유색인종은 앉지 못한다. 그런데 백인석이 꽉 차면 그 뒷줄부터 또 백인석이 된다. 먼저 탄 흑인이 나중에 탄 백인에게 자리를 내줘야 했다. 1955년 12월1일도 마찬가지 상황. 같은 줄에 앉은 세 명의 흑인이 뒷자리로 옮겼다. 로자는 거부했다. “내가 일어서지 않은 까닭은 몸이 지쳤기 때문이 아니다. 나는 다만 물러서는 일에 지쳤을 뿐이다.” 시민 불복종. 로자 파크스는 경찰에 체포되었다.
|
1955년 백인 우대 버스좌석제를 거부해 구속된 흑인 여성 로자 파크스(왼쪽)와 이를 계기로 9년간 비폭력 투쟁을 이끌어 흑인민권법을 제정해낸 마틴 루서 킹 목사(오른쪽). <한겨레> 자료사진
|
로자는 곧 석방되지만 흑인들은 분노. 버스를 타지 않고 차라리 걷겠다는 비폭력 시민운동이 일어났다. 이것이 유명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킹 목사가 이 운동을 이끌며 유명해졌다.) 백인우월주의자들은 폭탄테러로 응답했다. 격동의 60년대가 시작되려던 참이었다.
글 김태권 만화가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