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8.30 19:09 수정 : 2016.08.30 19:20

‘설’만 무성한 정체불명 살인범

김태권 만들고 이은경 찍다
1888년 8월31일, 영국 런던의 낙후된 지역인 화이트채플에서 살인 사건이 일어난다. 피해자는 메리 앤 니컬스. 9월8일, 내장이 적출된 애니 채프먼의 시신이 발견되자 런던 사람들은 무시무시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얼마 후 신문사에 핏빛 글씨로 쓰인 편지가 도착했다. 편지를 쓴 사람은 자기가 살인을 저질렀다며 스스로를 잭 더 리퍼라는 가명으로 소개했다. (살인자를 사칭한 가짜 편지라는 설도 있다.) 다섯 건 이상의 연쇄살인으로 영국을 벌벌 떨게 만든 잭 더 리퍼 사건의 막이 올랐다.

진범을 모르기 때문에 잭 더 리퍼는 더 유명하다. 진범이 누구냐며 입씨름이 벌어지기 때문이다. 영국 앨버트 왕자의 주치의라는 설도, 심지어 왕자 본인이라는 설도 있었다. (2014년의 유전자 감식 결과 에런 코즈민스키라는 사람이 진범이라는 보도도 나왔는데, 유전자 표본이 낡아 믿을 수 없다는 반박도 있다.) 호사가들의 추측일 뿐이다.

김태권 만들고 이은경 찍다
잭 더 리퍼의 인기(!)는 영국 사회 분위기와도 관계가 깊다. “영국식 살인 사건의 전성기는 1850년과 1925년 사이”라고 조지 오웰은 썼다. 사람 죽은 뉴스를 반나절 오락거리로 소비하던 당시 중산층을 풍자하며 말이다.

김태권 만화가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나는 역사다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