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세화
|
시민편집인
원칙과 소신이 굴절되어 다른 가치에 매달릴 때 사회는 정서적 공황상태에 빠질 수 있다. 시민사회 구성원들은 대개 새로운 환경에 영합하려 한다. 전망 부재와 회의의 소용돌이 속에서 원칙과 신념은 다시금 블랙홀 속으로 빨려 들어간다. 신중함과 조심성으로 주저하고 있다고 해야 할까? ‘개혁’이 신기루였음이 드러났음에도 <한겨레>에는 당파성이 잘 보이지 않는다. 지지율이 높게 나온 한나라당 대선 후보군을 비판적 평가 없이 크게 소개하는 한편, 이에 맞선 대항마로 진보를 내세우는 상상력을 갖고 있지 않다. 물론 진보 정치세력에도 한계가 있지만, 한겨레에 민중지향의 상상력과 고민이 잘 보이지 않는 것 또한 사실이다. 실상 민주화는 모두 공감하고 동참할 수 있었던 명료한 명분이었고, 민주세력에 대한 광범위한 신뢰와 개혁정권의 출현을 가능하게 한 원동력이었다. 그래서 현 정권의 실정이 가져온 민심 이반과 혼란은 과거 정권의 실패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없다. 민주세력으로 불린 이들에 대한 신뢰와 기대의 반대급부가 심각한 후유증을 가져올 것이기 때문이다. 노동자들의 파업에 대한 차가운 여론은 그 파업 주체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이기도 하지만, 노동환경 개선이 민주화라는 대의명분과 함께 했던 과거와 다르다는 점도 작용하고 있다. 오늘 진보와 개혁의 명확한 구분은 실질 민주화의 전제가 된다. 민중적 기대와 희망은 언제나 유효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겨레의 당파성 부재는 우고 차베스의 베네수엘라 대선 당선에 관한 12월5일치 기사와 사설에서도 드러난다. ‘조중동’ 등이 그들의 당파성으로 베네수엘라를 비롯한 중남미의 좌파정권 도미노 현상을 ‘포퓰리즘’ 운운하며 깎아내리는데 열심일 때, 한겨레는 가령 베네수엘라의 ‘21세기 사회주의’ 실험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들여다보고 있는가? ‘차베스 승리의 빛과 그림자’라는 사설 제목이 시사하듯, 양비론적이거나 기계적 중립주의를 드러내고 있는 것은 아닌가. “빈곤층 위주의 정책으로 빚어진 계급적 갈등으로 사회가 양분되고 …”라는 사설 내용은 베네수엘라가 198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의 맹폭 아래, 예컨대 1989년에 빈곤층이 인구의 3분의 2, 그 중 극빈층이 30%에 이른 민중의 구체적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까? 이러한 시각은 기사에서도 그대로 반복되어, “고유가로 생기는 수입을 투자보다 공공지출에만 집중하고 있는 것은 경제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라거나, “1998년 1만7000여개였던 베네수엘라의 제조회사는 현재 8000여개에 불과하다”라는 내용의 <뉴욕 타임스> 기사를 소개하고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 아래 이윤을 추구하는 제조회사가 줄어든 대신, 민주적, 자주적 운영방식, 생산수단의 공동소유, 잉여소득 평등 분배, 친환경적 개발 등을 원칙으로 하는 대안경제 체제와 소액금융 사업 아래 베네수엘라의 사회경제를 실현하는 협동조합의 수가 4만개(2003년 11월 현재)를 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한겨레는 <뉴욕 타임스> <비비시> <타임> 등 시장주의를 반영하는 구미 매체의 관점을 따름으로써 ‘21세기 사회주의’에 대한 몰이해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당파성의 부재가 학습의 부재를 불러왔고, 학습의 부재가 당파성의 부재를 가져온” 예라고 하면 지나친 말이 될까?................................................................................................................
시민편집인과 독자권익위원회는 명예훼손 등 언론 보도로 인한 피해예방과 자율적 구제를 위해 일하고, 시민을 대표해 신문제작에 관한 의견을 전달하는 창구입니다. 한겨레 편집방향 등에 대한 따끔한 비판도 시민편집인의 몫입니다. 한겨레의 정확하지 못한 기사로 불편을 겪으셨거나, 한겨레 편집방향 등에 의견을 전하실 분은 연락해 주십시오. 시민편집인과 독자권익위원회가 여러분의 입과 손발이 되겠습니다. 또 보내주신 의견 가운데 선정된 내용은 시민편집인이 직접 답변도 드립니다.
시민편집인에게 의견보내기 | ☎ 02-710-0698
* <한겨레> 시민편집인이란 무엇인가요?
* 외국에도 시민편집인 제도가 있나요?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