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판] 정문태의 제3의 눈
(59) 아시아 10대 뉴스
나라 안팎 언론사들이 잘 다루지 않는 ‘2015년 아시아의 10대 뉴스’를 추려볼까 한다. 올 한해를 되돌아보면 아시아는 국제뉴스의 발원지 노릇을 톡톡히 했다. 국제사회에서 아시아라는 그릇이 그만큼 커진 셈이다. 그동안 미국-유럽중심주의 나팔수 노릇을 해온 외신들이 올해의 국제 10대 뉴스를 어떻게 뽑을지 장담할 순 없지만 적어도 예닐곱 개쯤은 아시아발 뉴스가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달리 말하자면 이제 우리는 아시아의 10대 뉴스가 곧 국제 10대 뉴스와 다를 바 없는 세상을 살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런 아시아가 지리적으로뿐 아니라 정치·외교·경제·군사·문화를 통틀어 대한민국의 생존이 걸린 그야말로 전략지대이면서도 우리 언론한테는 늘 변두리 대접을 받아왔으니 오늘 하루만이라도 제자리에 놓고 보자는 뜻을 담았다. 2015년 아시아의 10대 뉴스는 올해 외신판에 가장 많이 오르내리면서 아시아 사람들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친 사건이나 사고를 밑감 삼았다.
2015년 외신판을 주름잡은 아시아발 뉴스는 한마디로 지역 안보 문제였던 것 같다. 이슬람국가(IS) 박멸을 내건 시리아전쟁은 미국과 나토에다 러시아와 중국까지 끼어들면서 더 악질로 변했고, 미군이 침공한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전쟁은 끝날 기미조차 보이지 않았다. 게다가 미국의 지원을 받은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끄는 아랍 다국적군이 예멘을 공습하면서 이슬람권 전역이 전쟁터가 되었다. 연말에 터진 터키의 러시아 전투기 격추 사건은 중동전쟁이 새로운 길로 접어들고 있다는 불길한 징조를 보이기에 충분했다. 게다가 중국의 팽창은 정치와 경제 분야뿐 아니라 군사적으로도 남중국해를 비롯한 아시아 전역에서 미국의 패권주의와 충돌했고, 일본은 안보법을 통과시켜 70년 만에 전쟁국가로 재등장하면서 지역 안보를 흔들어 놓았다. 그렇게 2015년 아시아 시민사회는 전쟁과 안보 문제에 시달리며 한해를 보낸 꼴이다. 그사이 각국 정부는 언론 통제와 탄압으로 시민사회를 짓눌렀고 아시아 언론은 내남없이 맥없이 무너졌다. 2015년 가장 도드라진 현상 가운데 하나로 언론부재를 빼놓을 수 없는 까닭이다. 이래저래 아시아 시민사회는 아주 고달픈 2015년을 보냈다.
아시아는 지리적으로뿐 아니라정치·외교·경제·군사·문화 등
대한민국 생존 걸린 전략지대
올해 뉴스의 핵심은 ‘지역안보’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창설부터
타이 언론통제 강화까지
시리아 난민에 로힝자 난민들
인도네시아 연기는 아시아 뒤덮고 1. 중국,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창설 6월. 중국 정부, 러시아와 영국을 비롯한 57개 회원국으로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설립.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 아시아개발은행을 끼고 국제 경제를 주물러온 미국의 패권에 도전. 12월, 국제통화기금이 중국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인정하면서 실질적인 G2 등장. 2. 시리아, 전쟁 격화와 난민 대량 배출 7월. 시리아 난민, 유럽으로 대규모 탈출. 현재 국제난민 400만과 국내난민 800만 발생으로 인구 2300만 가운데 반이 난민 신세. 2011년 시리아 정부군과 반군 사이 내전이 미국 개입 뒤 국제전으로 격화. 전쟁과 난민 문제를 놓고 세계시민사회가 강한 의문 던짐.
인도네시아를 뒤덮은 산불(10월). AFP 연합뉴스
|
인도네시아 동부 아체 인근 바다를 떠도는 버마(미얀마)의 로힝자 난민들(5월). AP 연합뉴스
|
총선에서 승리한 아웅산수찌 버마 민족민주동맹(NLD) 대표(11월). 연합뉴스
|
정문태 국제분쟁 전문기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