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삼성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삼성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김보일 배문고 국어교사
|
[한겨레 사설] ‘금리 정상화’의 험한 여정이 시작됐다
한국은행이 30일 열린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1.5%로 0.25%포인트 올렸다. 2012년 7월 기준금리를 연 3.25%에서 3.0%로 내린 이래 5년4개월 동안 이어온 통화 완화 기조를 마침내 뒤집기 시작한 것이다. 이변이 없는 한 앞으로 상당 기간 기준금리를 적정 수준으로 올리며 통화정책을 중립으로 전환하게 될 것이다. 빚을 많이 늘려놓은 사람들은 금리 인상이 부담스럽겠지만, 인상의 불가피성을 이해하고 합리적 의사결정을 해나가야 한다. 한국은행은 인상 속도를 경제상황에 맞춰 잘 조절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통화정책 변경은 미국에 견줘 2년가량 늦은 것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2015년 12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면서 제로금리 정책에서 벗어났다. 그 뒤 2016년에 한 차례, 올해 3월과 6월에도 0.25%포인트씩 기준금리를 올려 현재 연 1.0~1.25%로 운용하고 있다.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다시 금리를 올리고, 내년에도 올해와 비슷한 속도로 인상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미국 연준의 금리정책을 우리가 그대로 따라가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축통화국의 통화정책 흐름을 정면으로 거스르기는 어렵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늦춘 건 그동안 우리나라 경제상황이 미국과 달리 썩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이번 통화정책 설명 자료에서 “국내경제가 견실한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당분간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 압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 완화 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보면 향후 금리 인상 속도가 빠를 것 같지는 않다.
한국은행은 통화정책 결정 과정에서 초저금리 정책의 부정적 측면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동안의 초저금리에도 민간소비는 여전히 부진한데, 부동산 가격은 크게 오르고 가계부채는 급증했다. 이것이 향후 금융불안 요인이 되지 않도록 통화정책 차원에서 깊은 고려를 해야 한다. 금리 인상으로 빚 많은 사람들이 어려워졌다는 이야기가 나올 수 있지만, 한국은행이 이에 영향을 받아서도 안 된다. 금리가 경제 전반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해 냉정한 판단을 해야 한다. 가계와 기업은 현재의 초저금리가 비정상이고, 금리 인상이 정상을 찾아가는 길임을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중앙일보 사설] 저금리 파티 끝나고 퍼펙트스톰 몰려온다
한국은행이 어제 기준금리를 기존보다 0.25%포인트 높은 1.5%로 올렸다. 미국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시작된 저금리 파티를 끝내자 한국도 저금리 시대의 막을 내린 것이다. 이 소식으로 어제 당장 코스피 1500선이 맥없이 무너졌다. 이는 8년간의 저금리 파티가 끝나고 이제는 고통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음을 알리는 전조에 불과하다.
가장 우려스러운 것은 주택시장에 유입된 천문학적 규모의 주택담보대출 자금이다. 그간 저금리는 가계대출 증가에 기름을 붓는 역할을 해 왔다. 하지만 정부는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95%에 달할 만큼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동안 팔짱을 끼고 있었다. 결정적 패착은 박근혜 정부가 확 풀어놓은 대출 규제를 다시 조일 타이밍을 놓쳤다는 점이다. 그 바람에 최근 3년간 불어난 가계부채가 362조원에 달한다. 이 여파로 2008년 말 859조원이었던 가계부채는 올 9월 1400조원을 돌파했다. 이 속도대로라면 올 연말에는 1450조원 안팎까지 불어나고, 내년에는 1500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경기 흐름으로 봐도 기준금리 인상을 더 지체할 이유가 없어졌다. 미국은 물론 유로존 지역과 일본에서도 고용 및 수출증가로 경제가 살아나면서 저금리 시대에서 속속 탈피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대외 여건을 보면 글로벌 경기는 회복세가 확대되고 있고, 미국과 유로 지역, 그리고 일본 등 주요국들이 예상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금리 인상 배경을 설명했다. 한국 경제도 호전되고 있다. 글로벌 무역 확대에 힘입어 올해 3.2% 성장이 예상되고 내년과 후년에도 3%대 성장을 바라보고 있다.
문제는 통계 왜곡과 착시 현상이다. 반도체·석유화학 특수를 빼면 한국 경제는 여전히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가계 실질소득은 2년 연속 하락했고, 생산·소비·투자 지표도 좋지 않다. 세계의 흐름과 달리 고용 한파는 갈수록 매섭다. 기업들은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통상임금 범위 확대로 투자를 늘리고 고용을 확대할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다.
금리 상승은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크다. 세 곳 이상 금융사에서 대출을 받은 저신용·저소득 채무자들이 390만 명에 달하고, 한계기업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에 유가가 오르고 원화 강세도 지속되고 있다. 이른바 3중고에 시달리게 된 것이다. 이 총재가 추가 금리 인상과 관련해 “성장과 물가의 흐름을 면밀히 파악해 신중히 판단하겠다”고 밝힌 것도 이 같은 고민이 담겨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세를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의장 지명자가 “금리를 정상화할 때”라고 밝힘에 따라 세계적인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정부는 고금리·고유가·원고(高)가 한꺼번에 몰려오는 거대한 퍼펙트스톰에 대비해 신경을 곤두세우고 비상 경제체제를 가동해야 할 것이다.
[추천 도서]
[키워드로 보는 사설] 금리정책 금리정책이란 중앙은행에서 금리를 인상 또는 인하하여 통화공급량을 조절하려는 정책을 말한다.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하면, 일반 시중은행들이 중앙은행, 곧 한국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기가 어려워지므로 시중의 금리도 상승하고, 기업은 고금리로 인해 투자자금을 마련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금리 인상은 민간 저축을 늘리고 소비 수요를 감퇴시켜 소비재 가격을 하락하게 한다. 따라서 금리 인상은 물가 하락을 유도하고 국제수지의 호전을 부르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금리가 오르면 원화가 강세를 띠고 환율이 하락해 수출 기업은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외국시장에 같은 물건을 같은 값에 팔아도 원화 환산 가격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