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7.05.11 17:43 수정 : 2017.05.11 21:40

김춘식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선거뉴스는 뉴스매체가 선거 국면에서 무엇을 관찰하여 보도하고 쟁점이 되는 사안의 여러 측면 중 어느 특정 부분을 강조할 것인가에 대해 내린 일련의 의사결정 결과이다.(토머스 패터슨) 이 정의를 따를 때 우리는 기사 내용 분석을 통해 언론의 선거뉴스 생산 관행을 추론할 수 있다.

먼저, 종이신문의 대통령선거 보도를 살핀 논문(박재영·안수찬·박성호, 2014)은 1992년부터 2012년 사이에 특정 취재원의 입장만을 전달하는 ‘완전히 단일 관점’의 기사가 현저하게 증가했다고 보고한다. <조선일보>는 1992년 18.5%에서 2012년에 55.8%로 급증했고, <한겨레>는 30.8%에서 60.8%로 두 배 정도 늘었다. 둘째, 특정 정당이 선거에 영향을 주려는 의도에서 의혹을 제기하거나 폭로한 사안을 보도한 기사의 형식을 분석한 연구(김춘식, 2017)에 의하면 제목에 인용부호를 사용한 기사의 비율이 1992년에는 2.4%에 불과했지만 2012년에는 무려 81.3%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상파방송 3사가 정당 취재원의 발언을 인용부호로 전하는 보도 태도는 선거 이전과 선거 기간 그리고 선거 이후에도 변함이 없었다. 셋째, 제20대 총선거일 직전 6주간 지상파와 종편의 저녁종합뉴스 프로그램을 전수조사한 글(이종혁·정낙원·김세은, 2016)은 정당을 주요 소재로 다룬 기사의 비율이 낮게는 57.55%(MBN)에서 높게는 78.45%(MBC)에 이르고, 스트레이트 뉴스가 최저 59.31%(JTBC)에서 최고 94.48%(MBC)를 차지하며, 앵커가 뉴스의 주제를 소개하고 기자가 세부 내용을 보도하는 형식을 채택한 기사의 비율이 최고 99.45%(MBC)라는 결과를 발표했다.

요약하여 정리하면 신문과 방송은 정치인이나 정당 대변인이 경쟁 후보를 공격하는 발언에 높은 뉴스 가치를 부여하지만 내용의 사실 여부를 엄밀히 검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언론은 선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치 쟁점을 보도하면서 보도의 객관성을 강조하기 위해 몇 가지 장치를 동원한다. 가령, 특정 세력을 편든다는 의도를 감추기 위해 취재원의 발언을 인용부호 안에 담고 이를 기사의 제목으로 삼는데 심지어는 익명 취재원의 발언을 인용한 제목도 자주 눈에 띈다. 마지막으로 의견이 배제된 단순 사실보도를 통해 선거 현실을 묘사하고 정당 간 정책 비교보다는 캠페인 전략의 성패에 더 주목한다.

우리가 관심을 둬야 할 것은 이러한 관행이 언론의 역할을 ‘감시자’가 아닌 ‘단순 전달자’로 전락시킨다는 점이다. 언론이 취재원의 의혹 제기와 이에 관한 평가적 관점을 실어 나르는 경향이 있어 때때로 뉴스가 정쟁의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예컨대 <에스비에스>(SBS)의 세월호 인양 시점 거래의혹 보도가 그러하다. 먼저, 이 기사는 단일 취재원의 발언을 토대로 삼았다. 둘째, 실명이 아닌 익명의 취재원 발언을 인용했다. 셋째, ‘거래의혹’ 정보의 신뢰성 판단에 필요한 취재원의 ‘권위’를 의도적으로 무시했다. 넷째, ‘거래 당사자’인 문재인 후보 측에게 반론 기회를 주지 않았다. 이 기사는 뉴스가 갖추어야 할 기본 조건들이 결여되어 가짜 뉴스와 다를 게 없다. 주류언론에 대한 신뢰도를 회복하려면 선거보도 관행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미디어 전망대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