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희 베이징 특파원
|
하나의 중국으로 다가선 양안
민주주의 수준은 아직 두개의 중국
대만 총통 선거를 앞둔 지난 12일 밤, 타이베이 뒷골목의 소박한 선술집에서 친구들이 마주앉았다. 국민당 마잉주 총통과 도전자인 민진당 차이잉원 주석의 정책에 대해 열띤 토론이 오가고, 누가 이길지에 대해 장난삼아 내기를 걸기도 했다. 화제는 중국 대륙으로 옮겨가 후진타오 주석의 대만 정책에 대한 평가, 올해 말 등장할 시진핑 체제가 어떤 난제를 맞이하고 있는지에 대한 난상토론도 벌어졌다. 빈 술병과 안주 접시가 계속 늘어가고 얼굴이 붉어지면서 토론은 점점 더 뜨거워졌다. 이들 4명의 친구는 대만의 젊은 학자와 정치 평론가, 중국과 홍콩의 언론인이었다. 대만과 중국, 공산당과 국민당, 민진당의 경계를 모두 넘어 자유로운 말들이 오갔다.
지난주 대만 대선 취재차 간 타이베이에서 본 중국과 대만은 생각보다 훨씬 가까워져 있었다. 베이징에서 비행기가 날아오른 뒤 3시간 만에 타이베이에 도착해 곧장 휴대전화를 켜니 자동 로밍으로 대만의 통신망에 접속했다. 곳곳에서 위안화를 타이베이달러로 환전할 수 있었다. 고궁박물관이나 타이베이101 빌딩은 중국인 관광객들로 북적였다. 지난해 184만명의 중국 관광객이 대만을 여행했다.
서울과 평양을 직항 항공편으로 오가고, 한국 휴대전화가 북한에서 자동 로밍되고, 한국과 북한 젊은이들이 술잔을 기울이며 자유롭게 남북한의 고민을 토론하는 날은 언제나 오게 될까? 남북한의 교류를 전면 금지한 5·24 조처만이라도 언제 풀리게 될까? 엉겁결에 양안 지식인들의 대화에 끼어 앉은 나는 그들이 부러웠다.
반분열법이나 미사일로 대만의 독립 움직임을 위협하던 중국은 경제 관계와 인적 교류를 강화하는 정책으로 전환했다. 2008년 ‘양안 화해’를 내건 마잉주 대만 총통의 집권이 계기가 됐다. 현재 대부분의 대만인들은 중국과의 통일을 원치 않지만, 사람과 경제의 교류를 통해 양안의 동포들이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다는 인식이 서서히 ‘하나의 중국’을 만들어 가고 있었다.
‘하나의 중국’이 윤곽을 드러내면서 ‘두 개의 중국’도 뚜렷이 보였다. 베이징을 출발해 대만에 도착하자 갑자기 모든 것이 낯설게 느껴졌다. 같은 중국어를 쓰는 사람들이지만, 중국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일들이 계속됐다.
마잉주 총통은 선거 전 직접 외신기자들 앞에 나와 즉석에서 질문에 답했다. 모든 기자들이 원하는 질문을 자유롭게 던질 수 있었다. 후보들의 모든 일정은 기자들에게 20~30분 단위로 공개됐다. 중국에서 지도자들의 일정이나 가족 관련 뉴스는 ‘국가기밀’이다.
선거 전날 밤 타이베이 교외의 체육관에서 열린 차이잉원 후보의 집회장에 들어섰을 때는 축제 같은 정치 참여 열기에 놀랐다. 길거리에선 어떤 시민에게 말을 걸어도 선거와 대만의 현실에 대한 솔직한 의견들이 쏟아졌다. 공무원들의 겸손하고 성실한 태도는 구호가 아닌 행동으로 ‘인민을 위해 복무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줬다.
‘대만 민주주의 효과’는 대만해협 건너 중국인들을 술렁이게 했다. 중국 당국은 이번 선거가 중국의 대만 정책의 승리임을 강조하려 했으나, 중국 누리꾼들의 관심은 대만 동포들이 누리는 민주와 자유에 집중됐다. 중국 인터넷에서는 ‘내가 죽기 전에 지도자를 선거로 뽑을 수 있으려나’ ‘해협 저편의 열띤 총통 선거를 보니, 질투가 파도처럼 일어난다’ 등의 반응이 쏟아졌다. 중국의 유명 부동산회사 완커의 왕스 회장은 직접 대만 선거를 지켜본 감동을 웨이보에 올렸다. 대만에 머물고 있는 중국 친구는 선거날 아침 일찍부터 투표소에 가서 난생처음 국민들이 지도자를 뽑는 선거를 보고 왔다고 했다.
중국이 경제와 돈으로 대만을 바꾸고 있다면, 대만은 민주주의와 투명한 사회의 힘으로 중국인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있다. 박민희 베이징 특파원 minggu@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