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5.06 14:36 수정 : 2010.05.06 14:37

매스게임. 한겨레 자료사진

[매거진 esc] 현시원의 디자인 극과 극
집단의 목적을 위한 ‘매스게임’ vs 자기 멋에 도취되는 ‘에어로빅’





인터넷에 올라온 삼성 신입사원들의 매스게임 동영상을 봤다. 로봇 청소기 광고가 익숙한 요즘 기계처럼 단합된 사람의 움직임이 낯설다. 매스게임을 관람하면 ‘와, 굉장하군’ 할 수 있지만, 참여하는 1인은 피곤하고 긴장되며 기계 부품처럼 전체를 위해 수고해야 한다. 멀리서 보면 ‘새천년 희망차게’ 같은 글자를 읽을 수 있어도 그 속의 1인이 희망찬 마음을 품고 있기는 쉽지 않다는 것을, 매스게임에 동원되어 보면 안다.

이런 매스게임(아래)의 기원은 무척 멀리 간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 시작해 중세 후기 유럽의 여러 도시에서는 젊은이들이 모여 피라미드 모양을 만들거나 집단 춤을 췄다. 19세기 독일에선 학교 체육 시간에 행진운동, 기구체조 등을 했고 1862년 체코슬로바키아는 체육단체인 ‘소콜’(Sokol)을 조직해 집단체조를 전파했다. 20세기를 맞는 유럽의 나라들에 매스게임은 국가의 집단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는 정치적 방편이었다.

매스게임은 여러 명의 동작이 모여 큰 ‘형태’를 만든다. 제멋대로 하는 운동이 아니라 짜인 구성과 몸의 형태에 따라 참여자들은 제대로 잘 훈련되어야 한다. 매스게임은 남에게 보이기 위해서, 봐달라고 하는 체조다. 균일한 움직임을 통해 모형이나 글씨, 숫자 등을 만든다. 그런데 매스게임의 완성은 훈련 그리고 일정한 고통과 관계한다. 모든 운동에 가벼운 고통은 따르지만 매스게임은 몸을 최대한 긴장한 상태에서 절도 있게 움직여야 한다. 그래야 대열을 흐트러뜨리지 않으며, 매스게임의 목적인 집단미와 건강미를 표현할 수 있다. 한 명이라도 대열에서 튀어나오는 망가진 매스게임은 대회의 피날레를 장식하기 어렵다.

에어로빅. 한겨레 자료사진

에어로빅(오른쪽)은 매스게임과 달리 어디에서 보든 산만하고 흥겹다. 줄 맞춰서 움직이고 똑같은 동작을 하지만 자기 기분을 한껏 살려서 제 동작에 몸을 맡긴다. 에어로빅에 흠뻑 빠진 여인들은 자기 자신을 위해 춤춘다. 매스게임 중에는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없지만, 에어로빅은 정면에 큰 거울이 있다. 이 거울을 보며 춤추는 자기 모습에 도취되는 맛 때문에 에어로빅을 한다. ‘무한도전’에 나와 멤버들에게 호되게 에어로빅을 가르쳤던 에어로빅 선생님을 떠올려 보라. 에어로빅 선생님의 모습으로 일반화하기는 힘들지만 넘치는 자기 확신과 적극성은 에어로빅에서 중요한 요소다.

매스게임과 에어로빅의 분위기가 다른 건 목적이 확연히 달라서다. 1968년 미국의 케네스 H. 쿠퍼 박사가 의학적인 임상실험을 기반으로 우주로 떠나는 남성 우주인들의 산소 호흡을 위해 에어로빅을 개발했다. 우주에서의 임무 수행을 위해 개발된 에어로빅은 신체 활동 에너지가 잘 순환되도록 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쿠퍼 박사는 1974년 2월 서울 와이더블유시에이(YWCA)를 찾아 ‘뉴 에어로빅 워크숍’을 열었다. 젊고 즐겁게 사는 데 관심이 있던 이 의사는 현대 여성을 위한 미용 운동을 한국에 전파했다.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도 매스게임과는 극과 극이다. 복장의 반짝임, 에어로빅의 헤어밴드와 토시, 타이츠까지 에어로빅 세트의 맛을 느껴본 사람은 안다. 허스키한 목소리의 에어로빅 선생님의 구령과 여성스러움과 동시에 ‘보이시’함을 갖춘 의상은 체조를 더욱 흥겹게 만든다. 방방 뛰고 달리고 리듬을 느끼며, 웃으면서 소리도 치는 격렬한 움직임에 빠지다 보면 대열은 흐트러지고 에어로빅 동작은 자기만의 스타일로 변형된다. 내 멋에 하는 거다.

현시원 독립 큐레이터 sonvadak25@hanmail.net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현시원의 디자인 극과극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