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소액대출 재원 모두 합쳐도 500억원 불과
대출기금 통합·확대 ‘생활안정기금’ 조성해야
민간 마이크로크레딧 활성화 법적 지원도 시급
‘금융 소외자에게도 은행이 필요하다!’
시민사회 단체와 전문가들은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는 720만명의 금융 소외자들이 긴급한 생활자금과 창업자금을 빌릴 수 있는 제도와 기관을 활성화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이들에게 무담보로 소액 대출을 받을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고금리 사채의 덫에 빠지는 것을 막고 자활의 기반을 마련해 줘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내년에는 외환위기 이후 가장 심각한 경제침체로 카드사태 때처럼 금융 소외자가 대규모로 양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제도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재원은 여전히 민간에만 의존하고 있을 뿐 재정을 통한 적극적 지원에는 소극적인 태도다.
■ 720만명이 은행 문턱 못 넘어 정부는 현재 ‘금융 소외자’ 곧 은행돈을 빌릴 수 없는 7~10등급의 저신용층 인구를 720만명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경제활동 인구의 30%나 되는 수치다.
저신용층은 의료비, 학자금, 생계비, 사업 운영자금 등 소위 ‘급전’이 필요할 때 연리 30~40%가 넘는 제2금융권이나 대부업체를 찾을 수밖에 없다. 이마저 안 되는 이들은 연리 수백프로의 불법 대부업체로 내몰린다. 한번 고금리 대출을 쓰면 불어나는 이자 때문에 다시 빚을 내 빚을 갚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금융위원회 조사 결과를 보면, 국내 사금융 시장 규모는 16조5천억원(2008년 5월말 현재)에 이른다. 송태경 민생연대 사무처장은 “저신용층이 ‘약탈적 대출’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방치하면 가계파산 급증, 절대적 빈곤층 증가 등으로 사회적 기회비용이 늘어나게 된다”며 “수익성, 연체율 같은 제도권 금융의 시장논리가 아니라 국민의 기본적 삶의 보장이라는 관점에서 이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충무로 사회연대은행에서 지난 16일 한 대출 신청자(뒷모습)가 대출상담을 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720만명으로 추정되는 금융소외자들에게 긴급한 생활자금이나 창업자금을 빌릴 수 있는 제도와 기관의 활성화가 절실하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
사회연대은행의 이종수 이사는 “모든 사람에게 금융서비스 접근권을 보장해 주기 위해서는 ‘빈자의 은행’이 필요하다”며 “서민은행 설립과 함께 민간 마이크로크레디트 기관 활성화를 위한 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선희 기자 sha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