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랑 드 라 이르 <문법의 알레고리> 1650, 유화, 런던 내셔널 갤러리.
제멋대로 자란 식물을 정원사가 질서 있게 다듬듯 문법은 말에 질서를 부여한다는 의미의 그림(왼쪽).
레비츠키 <예카테리나 여제-정의의 여신의 신전에 선 입법자> 1783, 유화, 러시아 미술관(오른쪽) |
이주현의 알고싶은 미술 12
알레고리
추상적 개념 그림에 담아주로 도덕적 메시지 전달 알레고리란 드러나 보이는 것을 통해 숨은 속뜻을 전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테면 영화 <하이 눈>에서 보안관인 주인공이 주민들의 비겁한 외면 속에서 고독하게 악당과 싸우는 내용은, 이른바 매카시 선풍으로 집단 공포가 만연하던 1950년대 초 미국의 정신적 상황에 대한 알레고리라고 할 수 있다. 영화 자체는 보안관과 악당의 원한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는 서부극이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영화가 만들어진 시대의 모순과 이에 맞서는 개인의 용기에 대한 메시지가 들어 있는 것이다. 알레고리는 그리스어 알레고리아(allegoria)에서 왔다. 알로스(allos, 다르다)와 아고레위에인(agoreyein, 공중 앞에서 말하다)의 합성어로 ‘다른 이야기’란 뜻을 지니고 있다. 이 어원으로부터 우리는 알레고리가 겉으로 전해주는 이야기 외에 다른 이야기를 전해주는 것임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이렇듯 이야기에 관한 것이므로, 알레고리는 기본적으로 서사 구조에 의지하는 표현 형식이다. 문학이나 영화, 연극 같은 예술에서 알레고리의 다양하고 풍성한 표현을 맛볼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알레고리가 꼭 언어적인 방법으로만 표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문학적인 서술의 형식을 빌릴 수는 없다 하더라도 미술 또한 의미 구조를 지니고 있는 까닭에 나름의 알레고리 형식을 발달시켜 왔다.
브론치노 <미와 사랑의 알레고리> 1540~50년경, 유화, 런던 내셔널 갤러리
|
화면 오른쪽으로 시선을 돌려보자. 비너스 곁에 그녀 쪽으로 장미꽃을 던지려는 아이가 보인다. 불행하게도 그의 오른발은 장미 가시에 찔려 있다. 어리석은 쾌락의 상징이다. 아이 뒤에는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파충류의 몸통을 갖고 있는 소녀가 보인다. 변덕을 의미한다. 소녀의 꼬리 아래는 기만을 상징하는 가면이 있다. 큐피드 왼편을 보면, 갈색 피부의 노파가 머리를 감싸 쥐고 있다. 질투 혹은 성병을 나타낸다. 그 위로는 뒷머리가 깨진 여인이 푸른 천으로 앞쪽 사람들을 덮으려 하고 있고, 한 노인이 화를 내며 이를 막아서고 있다. 각각 망각과 시간의 상징이다. 망각은 여인의 뒷머리가 깨져 없는 것으로, 시간은 노인의 어깨에 모래시계가 얹혀 있는 것으로 표현했다. 얼핏 보면 이 그림은 젊은 남녀가 사랑을 나누고, 그 뒤로 여러 부류의 사람들이 법석대며 소동을 벌이는 모습을 표현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각각의 인물이 나름의 상징으로 동원된 것이라는 사실이 파악되는 순간, 그림은 전혀 새로운 의미 구조를 열어 보인다. 곧 아름다움과 사랑은 그 자체로 소망스러운 것이지만, 그것이 하나의 쾌락으로 추구되면 어리석음과 변덕, 기만, 질투(혹은 성병)의 노예가 되고, 이를 잊으려 해도 오랫동안 고통에 시달릴 수 있다는 메시지가 드러나는 것이다. 미술의 알레고리는 이렇듯 추상적인 개념이나 가치를 드러내는 데 적합한 구조를 지녔다. 복잡한 사건이나 인물의 행위에 대해 이야기하기에는 극단적으로 함축적인 장르다. 반면 그 함축성만큼 풍성한 해석의 여지와 뉘앙스를 감상자에게 제공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미술의 알레고리가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에 대해 전혀 이야기를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럴 때도 미술의 알레고리는 추상적인 개념들을 동원하고 표현의 함축성을 따른다. 18세기 러시아 화가 드미트리 그리고리예비치 레비츠키가 그린 <예카테리나 여제-정의의 여신의 신전에 선 입법자>를 보자. 이런 초상화를 알레고리적 초상화라고 하는데, 그려진 인물이 그 사람 자신이기 때문에 인물의 이미지 자체는 알레고리적 성격을 갖고 있지 않지만, 주위에 여러 상징들이 동원돼 그 사람의 덕이나 위대성 등을 알레고리적으로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여제는 지금 밝은 옷을 입고 있다. 여제가 손으로 가리키는 곳을 보니 조각상이 보인다. 저울을 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정의의 여신상임을 알 수 있다. 조각상 앞 제단에서는 잠의 신의 꽃 양귀비가 타고 있는데, 이를 통해 평화가 도래했음을 알 수 있다. 여제 곁에 서 있는 새는 제우스의 독수리로, 발에 바게트 빵 모양의 번개를 쥐고 있다. 여제 왼편 뒤로 보이는 범선은 투르크와의 전쟁에서 거둔 승리와 러시아의 흑해 진출을 상징하는 이미지다. 이런 상징들을 통해 우리는 예카테리나가 제우스에 버금가는 위대한 통치자이자 평화의 수호자, 정의로운 입법자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이 관점은 당시 러시아의 진보적인 귀족들이 기대한 이상적인 군주상으로, 그들의 염원을 화가가 대신 표현한 그림이라 하겠다.
이주현의 알고싶은 미술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