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 3500만명 영양결핍…가격폭등 탓 폭발직전
필리핀, 쌀 보조금 급증 재정악화…전세계 확산 우려
“5시간을 기다렸는데 밀가루 한 줌 안 주면 굶어 죽으란 말이냐!”
지난 5일 오후 파키스탄 남쪽 최대 도시 카라치 페리어시장. 부르카로 온몸을 뒤집어쓴 60대 노파가 ‘유틸리티 스토어’(정부 운영 생필품 가게) 앞에서 고함을 치고 있었다. 함께 있던 이브라힘(45)은 “질이 제일 나쁜 밀가루도 3개월 사이 3배가 올랐는데 이것도 못 사냐”고 목청을 돋웠다. 섭씨 42도의 땡볕 속에서 60∼70여명의 주민들이 줄을 선 채 언제 열릴지 모를 가게 문 앞을 지켰다.
카라치에서 식료품 가게 앞은 식량을 구하려는 주민들간에 고함과 몸싸움이 오가는 전쟁터로 변했다. 식량창고 주변에는 식량 강탈을 막기 위해 총을 든 군인들이 배치돼 있다. 영양 결핍 인구가 3500만명인 파키스탄에서 식량위기는 사회불안으로 바뀌고 있다. 무하마드 사비르 <데일리 카라치> 편집인은 “식량값이 폭등하면서 사회적 분노를 불러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며 “식량위기가 계속되면 예상치 못한 혼란을 빚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식량위기는 식량수출국들에게도 예외는 아니다. 세계 3~4위 밀 수출국인 카자흐스탄 최대도시 알마티에서 가장 큰 악사이난 빵공장. 지난 9일 이곳에서 나오는 650g의 벽돌 모양 빵은 지난해 50텡게(1텡게는 약 8원) 안팎이었지만 60~70텡게에 팔렸다. 베르디베크 사파르바예프 노동사회복지부 장관은 “식량값 상승으로 인구 1600만명의 카자흐스탄 인구 중 300만명(18%) 이상이 고통받고 있다”며 사회불안을 우려했다.
필리핀 소년이 지난달 30일 마닐라 국립식품청에서 산 정부 보조미를 비닐봉지에 담아 가다 쏟자 주워 담고 있다. 마닐라/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
로버트 졸릭 세계은행(WB) 총재는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등 세계 33개국이 식량값 급등으로 심각한 혼란의 위기에 처해 있다”고 경고했다. 중남미 카리브해의 가난한 섬나라 아이티에서 지난달 식량값 폭등으로 1주일째 항의 시위가 이어져 6명이 넘게 숨지면서, 자크 에두아르 알렉시스 아이티 총리가 사임했다. 지난 5일 아프리카의 소말리아에서는 곡물가 폭등에 항의하는 시위대에 경찰이 발포해 5명이 숨졌다. 이 밖에도 카메론, 이집트 등 세계 곳곳에서 ‘식량 전쟁’이 이어졌지만 이 전쟁은 쉽게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존 홀름스 유엔 인도지원 담당 사무차장 겸 긴급구호 조정관은 지난달 “식료품값 폭등 추세가 사회불안을 빠르게 확산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알마티 마닐라 카라치/ 류이근 김기성 기자 ryuyigeun@hani.co.kr
“쌀값 폭등은 국제시장 왜곡 탓” “필리핀 전체 인구의 35% 정도가 쌀값 폭등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가즈유키 FAO 필리핀 소장.
|
풍요 속의 식량위기 원인은? 생산량 충분 ‘분배에 문제’ ‘맬서스 인구론’ 현실과 달라
“저임금·실업·배급문제 얽혀”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는 1798년 쓴 <인구론>에서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나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인구는 ‘1, 2, 4, 8, 16 …’으로 늘어나는 반면, 식량은 ‘1, 3, 5, 7, 9 …’로 증가한다. 필연적으로 25년마다 두배가 되는 인구와 그렇지 못한 식량 사이에 불균형이 존재한다는 게 그의 결론이다. 최근 세계 식량위기 속에 ‘인구론’이 부활했다. 많은 전문가들이 인구론을 바탕으로 농업 생산력이 지구촌 인구와 ‘이머징 마켓’ 등의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식량위기가 발생한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현실은 조금 다르다. 식량위기를 겪는 필리핀 인구 증가율은 지난 10년간 평균 2.3%로 해마다 거의 100만명씩 늘었다. 반면 필리핀의 쌀 생산량은 같은 기간 매년 평균 4.4%씩 성장했다. 식량생산 증가율이 인구 증가율을 앞질렀지만, 정작 쌀을 제대로 사기 어려운 계층은 전체 인구의 25~30%에서 35%안팎으로 늘었다. 올해 사상 최대 풍작이 예상되지만 세계 37개 국가 21억명이 당장 식량위기로 고통받고 있다. 유엔 인권위원회 식량특별조사관 장 지글러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1984년 당시 세계 농업 생산력을 기준으로 120억명을 거뜬히 먹여 살릴 수 있다고 했다”며 “식량이 제대로 분배된다면 모든 사람이 충분히 먹고도 남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세계 식량위기를 ‘가격 위기’ 또는 ‘풍요 속의 빈곤’이라고 하는 이유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아마르티아 센은 <빈곤과 기아>에서 “식량 공급량의 감소보다 임금 감소, 실업, 식량가격 상승, 식량배급 체계 미비 등의 수많은 사회·경제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사회 내 특정 집단의 기아를 유발시킨다”고 기근의 원인을 설명했다. 류이근 기자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