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9.22 14:55 수정 : 2008.09.22 14:55

서남해안 해변가 어느 곳이든 후미진 곳은 해양쓰레기들로 채워져 있다. 사진은 해변에 밀려온 해양쓰레기 모습. 강화도시민연대 제공(위), 바다 밑에는 주로 로프와 폐그물이 많이 버려진다. 그러나 육지에서 실려온 자전거가 발견되기도 한다. 유엔환경계획 제공

[환경통신]
전국 32곳 조사…개수로 따져 전체 21%
비닐봉지, 부표, 유리병, 플라스틱병 순

당신이 무심코 서울시내 길바닥에 내던진 담배꽁초는 아마도 몇 달 뒤에는 인천 앞바다에 떠다닐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 해안과 바다밑에서 수거한 쓰레기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담배꽁초로 전체의 2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해양구조단이 지난해 국제연안정화의 날인 9월15일을 전후해 전국 32곳에서 조사한 결과다. 물론 이 비율은 회수한 쓰레기의 개수로 따진 것으로 무게로 치면 어망과 밧줄, 부피로는 스티로폼으로 만든 부표가 훨씬 많다. 담배꽁초는 5만1천여개의 해양쓰레기 가운데 21.2%인 1만여개가 발견돼 5개 가운데 하나 꼴이었다.

이는 아무렇게나 내버린 작은 담배꽁초가 수거되지 않은 채 결국 빗물에 쓸려 바다까지 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현상은 세계적으로도 마찬가지여서, 지난해 76개 나라에서 37만8천여명이 참가한 국제연안정화 행사 때 수거한 해양쓰레기 가운데 담배꽁초는 27.2%로 가장 많은 품목이었다. 이날 하루 동안 전 세계에서 자원봉사자들은 2백만개의 담배꽁초를 주웠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국제연안정화의 날 행사 후원자에는 미국립해양대기국, 코카콜라, 다우, 오라클 등과 함께 담배회사인 미국 필립모리스가 끼어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담배꽁초의 비율은 2001년 18.7%에서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데, 해양구조단쪽은 그 이유가 쓰레기가 늘어나기보다는 자원활동가들이 행사를 거듭하면서 더 꼼꼼하게 수거를 하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담배꽁초 다음으로 수량이 많은 해양쓰레기는 비닐봉지,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 부표, 유리 음료수병, 플라스틱 병, 각종 뚜껑, 음료수 캔 등의 순이다.

깡통맥주를 묶는 플라스틱 끈에 목이 졸려 죽은 새(왼쪽)와 조여드는 폐그물 때문에 목숨을 잃은 남극바다표범.

홍선욱 한국해양구조단 환경실장은 "외국과 비교해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부표 폐기물이 많아 문제"라며 "제도개선 등 근본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식장 등에 스티로폼 부표를 많이 쓰는데 몇 달에 한 번씩 자주 교체하는데다 태풍 등 큰 파도로 쉽게 떨어져나간다. 한번 폐기물이 된 부표는 가벼워 바람을 타고 멀리 퍼지고 인건비 때문에 회수가 잘 되지 않아 바닷가 후미진 곳이면 어김없이 부표가 산더미처럼 쌓여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다쓰레기의 80%는 육상에서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하천을 타고 오는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내륙의 댐 등에 가로막히는 반면, 해변 여가활동이나 해상과 연안에서 배출되는 쓰레기가 늘어나고 있어 해양 종사자들의 인식전환이 시급하다고 홍 실장은 말했다. 그는 또 외국에서 오는 해양 쓰레기 가운데 중국산이 많지만 전체 쓰레기의 90%는 국내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밝혔다.

해양쓰레기는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해마다 100만 마리의 바닷새와 10만 마리의 고래, 바다표범 등 해양 포유동물을 죽일 정도로 해양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나일론 폐기물에 새, 물고기, 게 등이 옭죄이거나 플라스틱과 스티로폼 조각을 먹이로 착각해 위장에 쌓인 거북이가 굶어죽는 등의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한편, 한국해양구조단은 해양경찰청, 자원순환연대,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와 함께 국제연안정화의 날인 오는 20일을 앞뒤로 전국 30여개 해안과 수중에서 바다쓰레기 수거와 모니터링을 벌인다.

이번 행사에는 국내에서 7천여명을 포함해 전세계 100여 국가에서 50만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해양구조단 웹사이트: www.lovesea.or.kr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조홍섭의 물, 바람, 숲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