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정인(연세대 정치외교학 교수)
|
버려서는 안될 것-참여정부의 공
[연중기획] 다시 그리고 함께 / 새로운 모색을 위하여제2부 성찰 (다시보는 참여정부 5년) - (7) 에필로그- 5년의 공과
일관된 포용정책 ‘한반도 전쟁 먹구름’ 거둬냈다 - 한반도 평화정착
한반도 전쟁의 암운이 많이 걷혔고, 남북한 간에 평화공존이라는 새로운 전환점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런 점은 평양에 가보면 느낄 수 있다. 단순히 북의 엘리트들뿐만 아니라 주민들도 전반적으로 남쪽은 적이 아니지 않냐는 인상을 갖고 있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 이 정도 교류협력이 있을 거라고 상상이나 할 수 있었겠나.
일관성 있는 대북 포용정책이 이런 가시적 결과를 가져왔다. 부시 행정부가 출범하고 북한 내부에서도 선군정치가 대두되면서 주변환경이 어려웠지만 참여정부가 인내심을 갖고 대북 포용정책을 전개했다. 물론 참여정부 들어 이상적인 대북 원칙 때문에 대북송금 특검을 도입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지만 흐름 자체는 그렇게 갔던 게 아닌가 생각한다. 또 김대중 전 대통령도 북한이 미사일 실험이나 핵실험을 한 상황에서는 모든 교류를 정상적으로 하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어느 정부든 국민정서를 완전히 무시하는 정책은 힘들기 때문이다.
한미 관계를 보면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의 뿌리는 같지만 주어진 환경과 얻으려는 정책적 목표는 차이가 있었다. 노 대통령은 좀더 자율적인 동맹과 자주적인 국방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강했고, 김 전 대통령은 미국과 의존적 동맹 안에서 자율성을 찾으려고 했다.
|
버려서는 안될 것-참여정부의 공
|
기록관리·정보공개 토대 닦아 - 투명성 강화
|
△경건(서울시립대 법학과 교수)
|
정부의 투명성 강화는 단지 ‘참여’나 ‘민주’의 가치를 강조한 참여정부뿐만 아니라 국정운영의 효율성·공정성을 강조한 이명박 정부에서도 결코 후퇴할 수 없는 기본적 가치다. 정부의 성격이나 정권이 추구하는 가치와 무관한 민주주의 발전의 ‘바로미터’이기 때문이다.
‘얌전한 과거청산’ 제한적 성공 - 과거청산
|
△한홍구(성공회대 교양학부 교수)
|
그러나 한계도 있었다. 과거 ‘살인무기’로 쓰였던 국가보안법을 폐지하지 못한 채 피해자들의 상처를 치유한다고 했던 것과, 가해자를 처벌하지 못함으로써 제대로 진실을 밝히기 어려웠던 점이다. 한마디로 ‘얌전한’ 과거청산이었던 셈이다. 과거청산 문제는 절대로 죽은 이슈가 아니다. 앞으로는 참여정부에서 펴낸 보고서를 바탕으로 시민사회, 언론이 제 역할을 해야 한다.
정치적 권위 상실 ‘금기’ 없애 - 탈권위
|
△신광영(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
10년의 또 다른 성과는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크게 변한 것이다. 경제성장과 민주화가 성공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면서, 한국의 국제적 위상은 대단히 높아졌다. 그리고 이것은 중국과의 수교와 남북관계 발전에도 크게 도움이 됐다. 미국의 일방적인 주도권 행사로부터 어느 정도 독립적일 수 있었던 요인도 경제력의 증대와 중국과의 관계에서 유래한다. 만약 중국과의 관계가 과거와 같았다면, 한국이 남북문제에서 역량을 발휘할 여지가 없었을 것이다.
서구식 복지국가 초기 단계 진입 - 복지 투자
|
△김연명(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하지만 일반 국민들이 이를 체감하지 못한 것은 몇가지 이유가 있다. 복지국가 지지율이 높은 나라는 중산층을 위한 복지 프로그램이 많은데 우리는 중산층을 끌어들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 없었다. 복지예산이 확대됐어도 실제로는 피부에 와 닿지 않았다. 연금, 의료보험, 보육 등이 그랬다. 경제 양극화, 인구고령화 팽창 속도가 빨랐기 때문이다.
‘깨끗한 선거’ 정치개혁 다져 - 정치개혁
|
△이준한(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