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2.04 18:10 수정 : 2019.12.05 15:08

‘한겨레 부산 주주·독자클럽’(대표 하일민 부산대 명예교수)은 “<한겨레> 구독이 곧 시민민주주의 운동”이라며, 주주와 독자들이 2015년 봄에 자발적으로 모여서 만든 모임이다. 배다지 김대중부산기념사업회 이사장, 하일민 부산대 명예교수, 박종철 열사의 아버지인 박정기 전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회장 등 부산의 시민사회 원로들이 주축이 됐다.

당시는 이명박·박근혜 정권을 거치며 용산 참사, 4대강 사업 논란, 세월호 참사, 백남기 농민 사망, 개성공단 폐쇄 등 이어지는 암울한 사건들로 시민들의 분노가 극에 달한 때였다. 이런 엄중한 시대상황 인식이 ‘한겨레 구독운동’이란 행동으로 이어진 것이다.

월 정기 모임은 창립 이후 한번도 거른 적이 없다. 구독자 유치를 위해 한겨레 필진과 각계 전문가들을 초청해 다양한 주제로 인문강좌도 열고 있다. 3년 전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때는 열아홉번의 촛불집회에 참가해서 3천여부의 <한겨레>를 시민들에게 배포하고 주주 가입 권유 캠페인을 벌였다. 이런 노력으로 수백명의 새로운 독자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종이신문 구독자가 급감하는 현실 속에 구독자를 늘리는 것이 결코 쉽지 않았다. 어렵게 구독을 권해 새로운 독자를 만들면 기사가 이래서 맘에 안 든다, 저래서 맘에 안 든다며, 신문을 끊는 이들이 생겨났다.

부산의 주주, 독자들은 자부심이 대단하다. <한겨레> 창간 때 부산지역 민주시민 활동가들은 당시 인권변호사로 활동한 문재인 한겨레 부산경남지사장과 함께 구독 사업에 열정을 바치기도 했다. 그동안 부산의 주주·독자들은 부산 시민사회에서도 중심적인 구실을 해왔다.

진보 성향의 정부에서 주주·독자들이 <한겨레>에 바라는 요구는 훨씬 더 다양하고 복잡해진 것 같다. “민주정부이니 응원해야 한다”거나 “차별 없이 감시·비판해야 한다”는 주주·독자들의 상반된 의견을 어떻게 담아야 할까. 곤혹스러운 일이지만 한겨레가 철저한 준비와 대응으로 독자가 떨어져나가지 않도록 노력해주길 바란다.

정동섭 한겨레 부산 주주·독자클럽 사무국장 jung-0617@hanmail.net

※세계 유일의 국민주 언론 <한겨레>에는 7만명의 주주가 있습니다. 누구나 한겨레 주주가 될 수 있고, 주주로서 <한겨레:온>(www.hanion.co.kr)에 가입하시면 주주통신원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주주통신원의 눈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