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9.25 17:43
수정 : 2019.09.25 19:12
|
지난 24일 경기도 파주시 한 양돈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추가로 발생해 방역관계자들이 출입을 통제하고 돼지 도살처분을 하고 있다. 파주/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
|
지난 24일 경기도 파주시 한 양돈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추가로 발생해 방역관계자들이 출입을 통제하고 돼지 도살처분을 하고 있다. 파주/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
지난 17일 경기도 파주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처음 확인된 뒤 주변 지역에서 추가 발병 사례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24일 확진 판정을 받은 파주시와 인천 강화군 돼지농장 2곳까지 포함해 발병지가 5곳으로 늘었다. 100% 가까운 치사율을 보이는 데다 치료제마저 없다는 이 병의 심각성을 고려하면, 지나치다 싶을 만큼 강력하게 대처해야 한다. 지난 1주일간의 방역 과정에서 드러난 허점을 찾아내 메우는 일이 시급해 보인다.
정부는 북한에서 번진 돼지열병 바이러스가 남쪽으로 전파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한다. 발생 지역이 모두 북한과 가까운 접경지라는 점 때문이다. 북한에서는 평안북도 지역의 돼지가 전멸할 정도로 상황이 심각했다고 국가정보원이 밝힌 바 있다. 남북 당국의 협력이 이뤄지지 못했다는 점이 못내 아쉬운 대목이다.
초기 대처에 구멍이 있지 않았는지 돌아볼 일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첫 발병 직후 아프리카돼지열병 위기경보 단계를 최고 수준인 ‘심각’으로 높이고, 전국 돼지농장과 도축장 등에 대해 48시간 동안 ‘이동중지 명령’을 내렸다. 매뉴얼(지침)에 따른 조처였지만, 결과적으로 추가 발병 사례가 나옴에 따라 이동중지 기간을 너무 짧게 정한 것 아닌지 의문이 제기된다. 병의 잠복기가 4~21일로 알려져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24일 긴급 관계장관회의에서 “그동안 우리가 기울였던 방역이 완전치 못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총리의 지적처럼 그동안의 방역 태세로는 충분치 않은 것으로 드러난 만큼,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단호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 전례 없는 사태임을 고려할 때 기존 지침에 매인 대응만으로는 부족하다. ‘범정부 대책지원본부’ 단계인 현재의 대응 체제를 정부 최고 대응기구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로 격상해 통합 대응력을 높이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시기라고 본다.
지금까지 확진된 사례가 경기 북부 지역에 한정해 나타났고, 구제역과 달리 전파 속도가 빠르지 않다는 사실만으로는 전혀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24일 현재까지 확진된 농장들 모두 차량 이동에 따른 직간접 ‘역학관계’로 얽혀 있었다는 점에 비춰, 이미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자칫 병이 전국으로 확산하는 사태로 이어지면 양돈농가는 물론 그 전후방에 얽힌 관련 산업 전반이 큰 타격을 입는 ‘재앙적 상황’을 맞을 수 있다. 정부·민간 모두 비상한 각오로 대처해야 할 때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