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8.08 14:01 수정 : 2019.08.08 20:34

8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광복 74주년 강제동원 문제 해결을 위한 8.15 시민대회, 국제평화행진 기자회견이 열려, 이희자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공동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한·일 시민 2000여명 함께 서울 도심 행진 뒤
일 대사관에 강제동원 해결 촉구 항의 서명 전달

8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광복 74주년 강제동원 문제 해결을 위한 8.15 시민대회, 국제평화행진 기자회견이 열려, 이희자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공동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광복절인 오는 15일 서울 도심에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과 한·일 시민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두 나라 시민들은 피해자와 손잡고 강제동원 문제 해결과 동아시아 평화 연대를 위한 발걸음을 함께 내디딜 예정이다.

‘강제동원 문제해결과 대일과거청산을 위한 공동행동’(한국 공동행동)은 8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광복 74주년 강제동원 문제해결을 위한 8·15 시민대회와 국제평화행진’의 구체적인 일정과 행사 취지를 밝히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번 행사는 일본 ‘강제동원 문제해결과 과거청산을 위한 공동행동’(일본 공동행동)과 함께 한다. 두 시민단체는 지난해 10월 한국 대법원의 강제동원 배상 판결을 전후해 각각 꾸려졌다. 한국 공동행동에는 민족문제연구소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등 시민사회단체 18곳이 참여했고, 일본 공동행동은 ‘강제동원 진상 규명 네트워크’ ‘포럼 평화·인권·환경’ 등 22개 일본 시민단체가 결성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나온 이희자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외 공동대표는 “강제동원 피해배상 재판은 20여 년 전 일본에서 먼저 시작됐는데 당시 일본의 양심 있는 지식인, 변호인, 국민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난해 대법원 판결을) 성사시킬 수 없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일본 시민단체와의 결연은 아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 역시 “한·일 시민연대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라며 “평화적인 시민연대의 전통을 이번 행사에서 확실하게 표명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일본이 역사를 왜곡하고 전쟁할 수 있는 국가로 나아가는 것은 동아시아 전체에 불행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8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광복 74주년 강제동원 문제 해결을 위한 8·15 시민대회, 국제평화행진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행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광복절 당일 오전 11시부터 서울광장에서 시민대회가 열린다. 특히 이날 시민대회에는 전범 기업 일본제철(옛 신일철주금) 강제동원 피해자인 이춘식(95) 할아버지, 여성 근로정신대로 강제동원돼 옛 미쓰비시중공업의 나고야 항공기제작소 공장 등에서 노동을 강요당한 양금덕(88) 할머니, 역시 여성 근로정신대로 끌려가 후지코시 강재공업 공장에 일해야 했던 김정주(88) 할머니 등 3분이 직접 발언에 나설 예정이다. 다만, 모두 고령이라는 점에서 당일 사정에 따라 참석 여부는 변경될 수도 있다. 이날 대회에서는 일본 공동행동과 북한 민족화해협의회 등의 연대사도 예정돼 있다. 참가자들은 대회가 끝난 정오께부터 옛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을 향해 국제평화행진을 한다. 한국의 청소년과 대학생, 재일동포, 일본 시민단체 관계자 등 최대 2000여명으로 예상되는 참가자들은 광화문광장을 지나 종로구 중학동에 있는 일본대사관에 일본 정부와 기업에 강제동원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항의 서명을 전달하고, 옛 일본대사관 쪽으로 행진할 예정이다.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에는 강제동원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회의도 열린다. 이날 회의에서는 피해 생존자의 증언뿐 아니라 야노 히데키 일본 공동행동 사무국장과 ‘전몰자의 유골을 가족의 품으로 연락회’의 우에다 케이시 등 일본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한국의 활동가들과 함께 한·일 시민연대를 두고 머리를 맞대는 자리도 마련된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