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8.05 19:12
수정 : 2019.08.06 09:59
|
5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이 발표됐다. 왼쪽부터 박천규 환경부 차관, 구윤철 기획재정부 제2차관,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윤종인 행정안전부 차관, 최종구 금융위원장. 중기부 제공
|
정부 ‘경쟁력 강화 대책’
“벤처펀드 3천억 조성 계획…
‘후불형 R&D 제도’ 검토
핵심기술 개발하면 투입비용 지급”
|
5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이 발표됐다. 왼쪽부터 박천규 환경부 차관, 구윤철 기획재정부 제2차관,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윤종인 행정안전부 차관, 최종구 금융위원장. 중기부 제공
|
정부가 소재·부품 국산화를 위해 ‘대·중소 상생품목’ 30여개를 지정하고 연구개발(R&D)에 1천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안에 소재·부품·장비 관련 중소기업 100곳을 선정해 성장자금을 집중 지원하겠다고도 했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 브리핑에서 “소재·부품·장비의 독립은 대·중소기업의 분업적 협력으로 그 길을 마련할 수 있다”며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 구성 및 대·중소 상생품목 지원 △소재·부품·장비 100+100 프로젝트 추진 △소재·부품·장비 전용 벤처펀드 및 후불형 연구개발 도입 등의 정책 목표를 제시했다.
우선 중기부는 소재·부품 국산화를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기술 개발부터 판매까지 협력할 수 있도록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를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6대 업종별(반도체·디스플레이·자동차·전기전자·기계 및 금속·기초화학)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참여해 품목 선정부터 공동 연구개발, 실증 테스트 등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고, 이렇게 개발한 중소기업의 소재·부품이 대기업 구매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또 중기부는 “대기업이 필요로 하고 중소기업에서 개발·생산이 가능한 ‘대·중소 상생품목’을 발굴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30개 안팎으로 파악되며, 이번 추경을 통해 여기에 1천억원을 집중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소재·부품·장비 관련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강소기업과 스타트업 각각 100곳을 선정해 지원하는 ‘소부장 100+100 프로젝트’도 추진된다. 박 장관은 “아무리 좋은 기술이 있어도 결국 이를 생산할 기업이 없으면 그 기술은 사장된다”며 “이번에 국회를 통과한 추경 예산을 활용해 올해 안에 강소기업 100곳을 선정해 연구개발 및 성장자금을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2020년부터 향후 5년간 소재·부품·장비 분야 스타트업 100곳도 선정·육성할 계획이다.
이 밖에 중기부는 소재·부품·장비 관련 기업과 핵심기술보유기업 인수합병(M&A)에 투자하는 3천억원 규모의 소재·부품·장비 전용 벤처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핵심기술임에도 응용 범위가 낮아 개발 수요가 적은 기술에 대해서는 개발에 성공하면 투입 비용을 인센티브 형식으로 지원하는 후불형 아르앤디 도입도 검토한다.
신민정 기자
shi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