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7.14 14:40 수정 : 2019.07.14 14:44

지난 12일 부산 동구 초량동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장영심 부산겨레하나 대표가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 조처에 항의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부산겨레하나, 일본총영사관 앞 1인 릴레이 시위
경제보복 철회·전쟁범죄 반성 촉구 서명운동 나서

지난 12일 부산 동구 초량동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장영심 부산겨레하나 대표가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 조처에 항의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지난 12일 낮 12시30분께 부산 동구 초량동 일본총영사관 뒷문에서 장영심 부산겨레하나 대표가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에 반발하는 1인 시위를 벌였다. 장 대표는 ‘강제징용 배상 않고 경제보복!’ ‘적반하장 일본! 국민이 분노한다!’고 적힌 손팻말을 들고 있었다. 부산겨레하나는 지난 5일부터 이곳에서 1인 릴레이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일본의 경제보복에 화가 난 청년과 학생 등이 1인 릴레이 시위에 참여했는데, 12일엔 장 대표가 스스로 나섰다. 부산겨레하나는 통일운동 시민단체다.

근처를 지나던 시민들은 장 대표를 응원했다. 김아무개(46)씨는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에 대한 앙갚음으로 볼 수밖에 없다. 화가 난다”고 말했다. 앞서 강제징용 피해자들은 일본 기업에 피해배상 소송을 냈고, 대법원은 지난해 일본 신일철주금(옛 신일본제철)과 미쓰비시중공업 등의 책임을 인정하는 판결을 냈다. 이후 일본 정부는 최근 반도체 등 핵심소재의 수출통제를 시작했다. 일제는 1945년 해방 전까지 조선을 수탈했는데, 이 기간 강제동원된 조선인은 250만~800만여명으로 추정된다.

장 대표는 “대법원 판결에 신일본제철 대신 일본 정부가 경제보복에 직접 나서는 것을 뒤집어 생각하면, 일본 정부가 강제징용 노동자 등 전쟁범죄에 책임이 있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는 셈이다. 결국 일본 정부는 강제징용 노동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등 전쟁범죄에 대해 전혀 반성하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일본 정부는 1965년 한-일 기본조약 부속협정인 한-일 청구권·경제협력 협정에서 5억 달러를 받고 국민 간 청구권 문제가 다 해결됐다는 주장을 펼친다. 이를 합의한 과거 박정희 정부도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부산겨레하나는 일본 정부가 경제보복 조처를 철회할 때까지 1인 릴레이 시위를 이어갈 방침이다. 다음 주부터는 도심 곳곳에서 일본 경제보복 조처 철회와 전쟁범죄 반성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을 벌일 예정이다. 장 대표는 “과거 반성 없이 적반하장으로 행동하는 일본 정부에 항의하는 것이 1인 시위밖에 없어서 답답하다. 우리 정부도 일본 정부에 대해 단호히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사진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