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6.06.12 20:06
수정 : 2016.06.12 21:52
|
12일 서울시청 대회의실에 열린 ‘구의역 사고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토론회’에 참석한 시민·노동계·학계·언론계·청년단체 등 전문가 패널들이 박원순 서울시장을 향해 구의역 사고에 대한 비판과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
구의역 사고 해결 시민토론회
패널 100여명 뼈아픈 지적 쏟아져
“시장 초기대응 너무 실망스러워”
“책임 추궁보다 원인규명을 해야”
“하청노동자도 작업 위험 시 요구할 수 있는 작업 중지권을 가져야 합니다.”
“정규직은 열차에 부딪히면 안 죽습니까? (정규직화도 중요하지만) 인원 문제입니다.”
“이번 사고 원인은 ‘빠른 사고 조처’였습니다. 시간(정시운행)이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했다면 김군은 죽지 않았습니다.”
구의역 사망 사고의 김아무개(19)군을 포함해 스크린 안전관리 하청노동자는 모두 ‘토요일’에 숨졌다. 12일 일요일, 박원순 서울시장과 서울시민, 전문가, 노동자들이 한데 모였다. 책임자에 대한 성토와 자기반성, 대책 제안이 쏟아졌고, 이제부터 ‘느린 삶’이라는 가치까지 궁리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서울시가 12일 오후 2시부터 3시간30분가량 시청 본관 대회의실에서 시민 패널 100명 이상이 참여한 가운데 연 ‘구의역 사고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토론회’ 자리에서다.
박 시장과 부시장, 도시교통본부장, 정수영 서울메트로 사장 직무대행 등 주요 책임자들이 모두 자리했고, 박두용 한성대 교수, 이영희 가톨릭대 교수, 은수미 전 국회의원, 김종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 임상혁 노동환경건강연구소장, 김진억 희망연대노조 국장, 김민수 청년유니온 위원장, 기자 등이 전문가 패널로 참여했다.
박 시장은 사고 이후 안전 관련 업무의 직영화 원칙, 구조적 진상 규명, 특혜와 관행 척결 등을 주요 대책으로 내놓은 바 있다. 그러나 시민들 입에선 ‘뼈아픈 말’들이 나왔다. 공공운수노조 소속 한 여성 노동자는 “책임 추궁 대신 원인 규명을 해야 한다. 처음엔 김군 잘못, 이후엔 역무원과 현장 직원들에게 책임이 돌아갔다. 왜 책임은 모두 하급노동자가 져야 하는가”라고 따졌다. 70대로 보이는 서울시민은 “(시장은) 절대 노동자들 사표 받지 마세요. ‘빨리빨리 문화’가 책임이고, 과정 무시하고 결과 중시하는 사회 풍토, 국가 지도자 잘못 아닌가요”라고 떨며 말했다.
그럼에도 박 시장 책임론이 줄진 않았다. 세 아이의 아버지라고 자신을 소개한 한 시민은 “초기 대응이 너무 실망스러웠다. (메트로 직원의 특혜 문제 등도) 몰랐다고 하는데 박 시장은 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안전을 최우선 국정지표로 세웠음에도 한 일이 없는 박근혜 대통령도 그 자리에 있으면 안 된다”고도 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서울시가 할 수 있는 것을 먼저 하면 된다. 결단해서 직영화하라”고 말했다.
시민들이 분담해야 할 ‘안전 비용’ 의제도 적극 공유됐다. 시민들 스스로 정시운행보다 안전운행을 ‘용인’할 수 있는지, 지하철 운임을 더 낼 수 있는지, 하청사회를 뿌리 뽑도록 정부·정치권에 요구할 수 있는지를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안으로, 안전 관련 시정에 시민들이 참여하는 ‘안전 거버넌스’(이영희 교수), 5·28 사고일 기념과 528명의 시민안전감독관 운영 방안(김종진 연구위원) 등이 제안됐다.
박 시장은 “안전 외주화는 직영이라는 결단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라며 “하청사회 해결은 인간에 대한 애정이 바탕이 되는데, 서울시의 노력이 현장에 미치기까지 너무 부족했다. 서울형 노동혁명이 전국으로 퍼져나갈 수 있게, 김군의 죽음이 정말 억울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최우리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